지난 3월 26일 천안함 사건이 발생하기 전 군 교신망을 통해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과 모선의 출동 사실이 전파된 사실이 있다고 신학용 민주당 의원측이 주장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신 의원실은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천안함 사고 당일 아침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과 예비모선이 작전에 나섰음이 전파됐고 사고발생 직전에는 북한 해안포가 일제히 전개돼 북한군이 급박하게 움직였음에도 정작 합참이나 제2함대 사령부에서는 전투태세 및 경계태세 발령 등의 적절한 대응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당일 오전 6시45분 제2함대 정보실에서 전 함대에 3월25일 기준 정보를 발령했다”며 “남포에서 연어급 잠수정 1척, 해주에서 예비모선 4척, 남포에서 예비모선 2척이 미식별 중이라는 내용이었다”고 전했다.
또한 “사건 직전인 오후 8시45분에도 제2함대 정보실은 전 함대에 당일 오후 7시 기준으로 ‘북한이 장산곶, 오차진리, 비엽도 등지에서 해안포 10문을 전개, 선위도 해안포 1문만 미전개’라는 내용으로 정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신 의원측은 “북한 잠수정 활동과 북한 해안포 전개라는 충분히 의심할 만한 움직임에 대해 제2함대나 합참 누구도 전투태세나 경계태세를 발령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