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회담에서 최근 실각한 것으로 확실시 되는 북한 장성택과 북핵 6자회담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부통령을 수행 중인 고위 당국자가 이날 현지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회담의 상당한 시간이 북한 문제에 할애됐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바이든 부통령과 시 주석은 최근 며칠간 나왔던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해 북한의 내부 상황을 점검했다”고 전했으나 구체적인 대화 내용에 대해서 밝히지는 않았다.
바이든 부통령과 시 주석은 장성택의 실각설에 대해 양국의 정보를 교환하고 향후 한반도 상황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 주석과 바이든 부통령은 이란과 P5+1(상임이사국과 독일) 간 핵협상 잠정 합의를 거론하며 이를 북한 핵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회담에서는 이란의 사례가 북한 문제에 시사하는 바와 관련한 대화가 있었다”며 “압박과 대화, 국제사회의 단합 등이 이란 핵 협상의 타결을 이끌어냈다는 인식하에 이런 처방을 북한 문제에 같이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6자회담 참가국들이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지적에 공감하고, 실질적인 결론을 도출해야 하고, 북한의 선택을 압박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등에 대해 상당히 오랜 시간에 걸쳐 대화했다”며 “이란 핵협상의 잠정 타결을 도출한 논리는 북한의 사례에도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