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북한군 만행 김정일 사과해…관광 재검토 필요”

시민사회단체들은 13일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과 관련 성명을 내고 북한 최고 통치자인 김정일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북한민주화위원회(위원장 황장엽)는 이날 성명을 통해 “금강산 관광에 나선 50대 주부를 총격 살해한 이번 사건은 대한민국 전체 국민은 물론 탈북자 사회에도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연약한 부녀자를 향해 총탄을 퍼부어 무참히 죽게 한 북한군의 만행은 우리 모두를 경악하게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당국은 이 엄중한 사태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할 대신 추악하게도 남측에 책임을 떠넘기며 합동조사를 거부하고 있다”고 꼬집으며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도 최소한의 예의도 지키지 않는 김정일 집단의 무지막지한 태도의 배경에는 지난 10년간 대한민국이 김정일 정권에 끌려 다니며 나쁜 버릇을 키워준 자업자득(自業自得)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도저히 상상할 수도 없는 한국인 부녀자에 대한 총살사건으로 국가와 국민의 존엄을 무참히 짓밟힌 충격에 휩싸여 엄청난 상처를 입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마땅히 북한군 최고책임자인 김정일 위원장이 최소한의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남한 국민들에게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명은 “금강산관광은 북한 2300백만의 주민들은 출입금지 돼 금강산 근처에도 갈 수 없게 만든 비인권적, 비인도적 관광으로 전락했다”며 “김정일 정권의 달러벌이를 위해 북한주민들의 금강산관광권리는 완전히 박탈당했다”고 주장했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대표 한기홍)는 11일 긴급성명에서 “민간인 관광객에게 실탄총격을 가하여 사망이 이르게까지 하였다는 사실이 우리의 상식으로는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며 “설사 군사시설이라 할지라도 체포하여 조사하면 될 일이지, 총으로 사살한 것은 도를 넘어도 한참 넘은 처사”라고 비판했다.

단체는 “금강산 관광은 각종 안전장치 미비와 북한 당국의 경직된 조치로 인해 항시적인 사고의 위험성을 앉고 있었다”며 “이번 피격 사건도 사건의 경위야 어찌되었든 단순 우발사고를 넘어 국민의 안전이 제대로 담보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추진되고 있는 금강산 관광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의 한 단면”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제대로 된 안전보장 없이 북한의 요구대로 움직이는 금강산 관광이야 말로 남북관계의 고려차원에서 진행되는 ‘억지관광’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며 “앞으로도 이번과 같은 사태가 또 다시 발생하지 말라는 법이 있겠는가”라고 힐문했다.

그러면서 “재발방지에 대한 명확한 제도가 마련되지 않는 이상, 금강산 관광을 전면 중단하고 향후 재발방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진행여부를 신중히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뉴라이트전국연합도 13일논평을 내고 “관광객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경찰에 북한 관광지 경찰권을 넘기는 일만이 유일한 재발방지 대책”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남측이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라’는 북한 측의 담화에 대해 “우리에게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라는 것은 북한 관광지의 경찰권을 우리가 행사하라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이 같이 밝혔다.

대한민국건국기념사업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북한이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하고 우리 정부와 유가족에게 사과ㆍ배상하지 않는 한 금강산ㆍ개성관광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은 전면적인 대북 대화 제의를 취소하라”고 주장했다.

피랍탈북인권연대는 “대한민국 국민이 어떤 이유로 사망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민관 합동조사단을 즉시 구성, 방문 조사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