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 59주년 당일에도 정치권의 갈등과 반목은 계속됐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으로 초유의 안보 위기가 도래했지만, 국가 안위를 걱정하는 여야의 일치된 목소리는 찾아볼 수 없다.
25일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은 전쟁을 교훈 삼아 확고한 안보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이명박 정부가 대북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남남(南南)갈등의 단면을 보여줬다.
한나라당 윤상현 대변인은 “이제는 6·25전쟁이 언제 일어났는지, 심지어 누가 일으켰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며 “그러나 6·25전쟁은 ‘잊혀진 전쟁’ 아니라 ‘끝나지 않은 전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도 종북(從北) 좌파주의자들은 북한이 저지른 잔인한 침략의 역사를 왜곡하고 미화하며, 감히 평화와 통일을 입에 담고 있다”며 “그들은 낙동강 방어선 이북의 남한 지역을 점령했던 북한이 ‘반동분자’라는 이름으로 학살한 13만여명의 양민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전쟁을 잊으면, 그리고 역사를 왜곡하면 이런 참극은 다시 반복될 수 있다”며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기억하고, 또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지난 10년간의 민주 정부는 분단 상황을 평화적으로 관리해 왔으며 나아가 민족통일에의 기대를 갖기도 했지만 현 정부 들어서는 남북간의 갈등과 일촉즉발의 긴장국면이 다시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며 대정부 공세를 이어갔다.
이어 “남북간의 평화는 우리 경제의 중요한 인프라다. 때문에 평화를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전쟁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미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며 지난 DJ-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을 옹호했다.
또한 “정치적 이해가 다르다고 해서 남북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폄훼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함부로 전쟁을 입에 올리거나 어떤 정치적 목적으로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이 있어서는 더더욱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6·25가 발발한 지 올해로 꼭 59년이지만 한반도의 안보지형은 아직도 불안하다”며 “동족상잔의 아픔이 아물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북한의 위협은 날로 거세지고 있고, 북한으로 인한 이념적·계층적 남남갈등 또한 날로 깊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박 대변인은 “이제는 대한민국이 국제 평화를 위해 할 일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며 “날로 비정상적인 태도를 보이는 북한에 대해서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야 하고, 국론분열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우리 헌법의 정신과 이념, 그리고 국제법적 원칙에 따라 문제들을 해결해야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분단 반세기만에 탄생된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이 이명박 정권에 의해 무참히 팽개쳐지면서 한반도는 실로 59년 만에 다시 전쟁의 먹구름에 휩싸여 있다”며 “전쟁을 부추기고 외세까지 끌어들여 대북강경책을 불사하는 정권을 두고서는 국민의 안전과 민족의 번영을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우 대변인은 “59년 전 오늘의 참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을 지지하는 모든 평화세력들이 다시 한 번 똘똘 뭉쳐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민주노동당은 평화를 바라는 전체 국민들과 모든 평화 세력들과 함께 이명박 정권의 반통일 반평화 대북강경책에 철저히 맞서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