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사할린동포 북송 계획’ 문서 입수

옛 소련 정부가 일제 패망 후 사할린에 거주하는 조선인 2만2천여명을 북한으로 단계적으로 이주시키려던 계획을 담은 문서가 입수됐다.

국가기록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문서를 포함해 옛 소련 정부의 비밀문서 214건(1천256장)을 입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들 문서는 국가기록원이 2005년부터 러시아 연방기록청에 수차례에 걸쳐 비밀 해제를 요청해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에서 받은 것이다.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알려진 소련 정부의 사할린 동포 북송 계획은 이번 문서 공개로 사실로 입증되게 됐다고 국가기록원은 설명했다.

국가기록원은 그러나 사할린 동포들이 실제로 북송됐는 지와 북송됐을 경우의 그 규모에 대해선 문서 상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사할린 동포 북송 계획과 관련한 문서는 당시 소련 내무상 크루글로프가 외무부상 말리크에게 보낸 서한으로, “1947년도에 사할린 거주 조선인들을 일시에 북송할 경우 사할린 지역사회에 경제적·사회적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소련 국가계획위원회의 통제 아래 단계적으로 이주시켜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번에 수집된 비밀문서에는 소련 극동군이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나홋카에 설치한 포로수용소에 관한 기록과 사진도 포함돼 있다.

이 문서에 따르면 1948년 12월 당시 나홋카의 포로수용소에는 6천176명이 수용돼 있었고, 이 중 조선 국적의 포로는 2천161명이었으며 장교는 없고 모두 하사관 또는 사병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로수용소 사진에는 소련군이 포로들에게 사회주의 사상을 주입시키기 위해 학습과 토론회, 공연 활동을 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에는 아직도 비밀 해제가 되지 않은 4천여 건의 한반도 관련 문서가 있어 앞으로 계속 수집할 방침”이라며 “이 기록들은 옛 소련의 한반도 정책, 포로 처리, 해방 전 사할린 동포들의 생활상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