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범 수용소를 경험했던 탈북자들 증언을 들어봐야 합니다”
“정치범 수용소 위성사진을 증거로 제시해야 합니다”
“미국처럼 정부가 민간단체를 지원하는 형식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제기해야 합니다”
‘제1회 세계인권선언 기념 모의 유엔회의’에서 각국을 대표하는 참가 대학생들이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 대목들이다. 이들은 북한인권학생연대(대표 정영지) 주최로 7일부터 양일간 태영 T-아트홀에서 열린 UN 세계인권선언 채택 65주년 모의 유엔회의에 참여했다.
정영지 학생연대 대표는 8일 “세계인권선언은 모든 인간과 국가가 달성해야 할 인권존중의 기준을 보인 초석이다”면서 “최악의 인권 탄압국으로 알려진 북한의 인권실태에 주목하고자 한다”고 행사 취지를 밝혔다.
이어 정 대표는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공개처형·탈북자에 대한 가혹한 처벌 등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에 벌어지고 있다고 믿기 어려운 일들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면서 “세계인권선언의 숭고한 정신이 북녘에도 실현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국 대표를 맡은 이재명(가명·24) 씨는 이날 “인권이란 한 국가에서만 관심을 가져서는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국제사회 모두가 관심을 갖고 나서야 되는 문제”라며 “북한인권에 대해서는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그는 “북한인권 결의안에 탈북자들의 인권 개선과 북한 정치범수용소 해체를 중점으로 넣어야 한다”면서 “실제 올해 유엔총회에서 지난해에 이어 회원국 모두(49개국)가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채택한 만큼 이번 모의유엔대회에서도 만장일치로 북한인권결의안이 통과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 대표를 맡은 김진영(고려대 2) 씨는 “독일은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어 분단을 경험한 국가이며 특히 서독이 동독의 인권개선을 위해 펼쳤던 정책들은 분단국인 한국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며 “무조건적인 퍼주기가 아니라 기준을 제시해 북한이 점진적으로 인권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100여 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한 이번 회의는 참가 대학생들이 3인 이내로 팀을 구성, 한국·미국·스위스·일본·아르헨티나·독일 등 32개국의 대표단이 돼 공식·비공식 토의를 거쳐 결의안을 작성·투표하는 실제 유엔회의 형식에 따라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