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 주한미국대사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이 1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에서 만장일치로 가결됐다.
인준안 통과는 이명박 대통령의 미 상·하원 연설 직전에 이뤄진 것으로 동맹 국가에 대한 예우 차원으로 해석된다. 성 김은 지난 6월 신임 주한미대사로 지명됐으나 버락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에 불만을 제기했던 존 카일(애리조나) 공화당 상원 의원의 인준보류(Hold) 요구로 4개여월간 인준이 지연됐었다.
카일 의원은 12일 국무부에 서한을 보내 6자회담 재개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시하는 동시에 북한이 6자회담에 다시 참여하는 대가로 어떤 금전적 유인책도 주지말라고 촉구했다.
성 김 대사는 중학교 1학년 때 부친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간 이민자로 1980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한국계 주한미대사의 임명은 한미 수교 이후 129년 만에 처음있는 일로 한미동맹의 높아진 위상을 보여주는 조치로 평가되고 있다. 성 김 신임대사는 조만간 한국으로 부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성 김 신임대사는 2003년 주한 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근무하면서 북한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지난 2006년 국무부 한국과장으로 발령받은 뒤부터 줄곧 북핵 문제를 담당해왔다. 2009년 오바마 행정부 들어 상원인준 절차를 거쳐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 겸 대북특사로 일해왔다.
이후 북핵 6자회담에 거의 빠지지 않고 참석했으며, 북한을 10차례 이상 방문했다. 지난 2008년 6월에는 북한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현장에 미국대표로 참석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