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안전성’으로 명칭 변경 2달…바뀐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은?

안전국, 안전부, 분주소로 각각 간판 변경...정복과 내부 부서는 아직 그대로

북한 강원도 원산 시내에 있는 공원. 사격장 부스에 보안원들이 몰려있다. /사진=데일리NK 자료사진

북한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5월 24일 보도)를 통해 인민보안성(우리의 경찰청)을 사회안전성으로 명칭을 바꾼 지 약 두 달이 흐른 가운데, 산하 기관 간판 교체 작업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30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이번 달 중순까지 청진시를 비롯해 각 군 보안서들이 ‘안전부’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간판을 모두 바꾸어 달았다”면서 “한 주 전까지 보안원으로 불리던 사람들이 새로운 직업명인 안전원으로 새롭게 불리게 됐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보안국(도)은 안전국, 보안서(시, 군)는 안전부, 보안소(읍, 동, 리)는 분주소로 명칭을 다 바꿨다”면서 “주민들은 이전에 사용했던 용어이고 직책들이기 때문에 혼란스럽지는 않다는 반응”이라고 덧붙여 소개했다.

이와 관련, 얼마 전엔 산하 무력 조직인 ‘인민내무군’도 ‘사회안전군’으로 명칭이 달라진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27일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들이 정전협정 67주년을 맞아 각지 간부와 주민들이 만수대 김일성·김정일 동상에 헌화한 사실을 전하면서 ‘사회안전군’이 언급된 것이다.

아울러 중앙 국가보위성 국경검열을 통해 해임돼 공석이었던 무산군 안전부 일부 부서장의 인사 조치도 최근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2개월 정도 다소 어수선했었는데, 명칭 변경과 인사 조치들로 인해 정리되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2017년 초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북한 규찰대가 길 가던 주민을 단속하고 있는 모습. /사진=데일리NK 자료사진

그러나 이전과 달라지지 않은 부분도 있다고 한다. 소식통은 “보안원 때 입었던 정복(服) 그대로를 현재 입고 출근하고 있다”면서 “80년대 안전부 정복은 교통 운수와 산림부서들은 다른 부서들의 정복과 색깔이 구별됐었는데, 이번에 어떻게 될지 현재는 알려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보안서가 안전부로 바뀌었지만, 함경북도 지역 내부 부서들은 이전 그대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마약과와 국경감찰과, 교통운수과, 산림과, 경리과를 포함하여 25개 부서들이 그대로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평양을 비롯한 다른 지역의 부서 개편 여부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주민들의 인식도 여전히 다소 부정적이다. 명칭을 바꾼다고 해서 가장 밀접하게 일반 주민들을 감시하고 탄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안전부의 속성은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반응이다.

소식통은 “이전에 안전원들을 가리켜 ‘안전하게 해먹는다’는 말을 했던 것을 상기하는 주민들이 대다수”라면서도 “하지만 최근 당과 대중을 분리시키는 짓을 하면 강하게 처벌한다는 중앙의 지시가 지속 내려오면서 이전보다 뒷돈(뇌물)을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일은 줄어드는 낌새”라고 부연했다.

경제학 전공 mjkang@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