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맹회의 선언문에 ‘北核합의 이행’도 포함

30일 이란 테헤란에서 폐막된 비동맹운동(NAM) 각료회의 선언문에 북측의 요구사항이었던 10·4선언 뿐 아니라 6자회담을 통한 핵문제 해결이라는 우리측의 주장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최종 선언문에는 6·15공동선언과 10·4정상선언을 포함한 모든 남북간 합의와 핵문제에 관한 2005년 6자회담 9·19공동성명 및 향후 6자회담에서 나올 합의들을 성실하게 이행해 핵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이 포괄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종선언문에 북핵 문제 해결 문구가 포함된 것은 우리 외교당국의 끈질긴 설득 작업의 성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이번 회의가 시작되기 전 NAM 각료회의 참가국들이 사전에 만나 북한의 주장대로 6·15와 10·4선언만을 포함한 1차 합의문을 작성한 상태였으나 한국이 회원국을 통해 남북의 주장이 골고루 반영되어야 한다고 설득했다”고 전했다.

또한 “금강산 총격 사건에도 불구하고 남북간 대화를 강조한 이명박 대통령의 의회 연설이 다른 참가국 사이에 공감을 얻었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의장국인 쿠바는 별도의 선언문 작성 소위원회를 구성해 한국 정부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포럼(ARF)에 이어 박의춘 외무상을 회의에 참석시켜, 선언문에 북측의 의견을 반영토록 했다. 북한이 국제무대를 통해 10·4선언 이행에 대한 지지를 만들어 내려는 속내를 감지한 우리 정부는 오준 외교부 다자조약실장을 현지로 급파해 북한의 ‘전방위 외교전’에 맞불 작전을 폈다.

이에 대해 김영목 주 이란대사는 “오 실장 팀이 회원국도 아닌 한국의 대표로서 제한된 시간에 효과적으로 활동했다”고 평가했다.

김 대사는 “10·4공동선언을 빼는 것이 우리 정부의 목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NAM 회원국들이 남북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데 집중했다”며 “북한이 여러 합의와 선언을 이행해야 한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고 회원국들도 남측 입장이 일리가 있다고 보고 충분히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비동맹운동 회의는 냉전 체제였던 1961년 인도의 네루, 유고슬라비아의 티토,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이집트의 나세르 등 제3세계 국가 지도자들의 주도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쿠바가 의장국을 맡고 있다. 3년마다 정상회의가 열리고 그 중간에 각료회의를 개최한다.

북한은 1975년부터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고, 한국은 1997년부터 게스트로 참석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