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당국자는 10일 북한의 핵실험준비설과 관련, “북한이 핵실험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징후를 포착한 게 없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오후 “우리 정부가 미 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며 그런 정보를 미측으로부터 통보받은 바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2월10일 외무성 성명을 발표한 이래 시간이 흘러가고 또 조속히 6자회담이 재개되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재개가 안되는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가 상당히 우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정부는 북한을 설득해 조속히 6자회담에 나오도록 하고 6자회담의 틀 내에서 북한이 원하는 것을 그리고 국제사회가 원하는 것을 테이블에 놓고 서로 협의해 돌파구를 마련하자는 게 정부의 생각이고 관련국들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회담이 재개되지 않고 있는 것에 자괴감을 느끼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뿐만 아니라 미국도 6자회담의 틀내에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대원칙에는 공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회담 복귀에 필요한 조건이 성숙하지 않았다며 안오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대화를 통해 푼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고 이런 것들은 지난 이해찬 국무총리와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간의 자카르타 회동에서도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북한 핵실험 준비장소로 지목되고 있는 함북 길주와 관련, “덤프트럭 이동 등의 지적은 몇년 전부터도 그와 유사한 움직임이 있었다”며 “예컨대 금창리 사건의 경우에도 나중에 확인해보니 아무 것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금까지 수집된 정보를 볼 때 (길주 지역과 관련해) 핵실험의 징후로 볼 수 있는 것은 없다”며 “여러가지 기술적인 상황으로 볼 때 터널 메우기, 관람대 건설 등이 핵실험과 바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이날 모스크바에서 “북한은 주권국가”라고 강조한 것과 관련, “좋은 징조”라며 “그 이유는 주권국가라는 표현은 북한의 실체를 인정해준다는 것이고 북한과 대등한 처지에서 협의할 수 있다는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주권국가라는 표현은 북한에 대한 존중의사”라고 강조하고, ‘라이스 장관의 그 발언이 미 행정부가 공식적으로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체제변형)를 하지 않겠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레짐 체인지라는 표현은 북핵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원칙이 나온 이후에 미국의 공식입장으로 나온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영변 5㎿ 원자로 중단에 대해 “가동중단후 상당기간 원자로가 냉각돼야 폐연료봉을 꺼낼 수 있다”며 “그 이후에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