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평양 주재 외국공관과 유엔 기구에 철수를 권고하고 나섰지만, 정작 내부의 주민 분위기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함경북도 내부소식통은 6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어제(5일) 청명절을 맞아 일반 백성들 대부분은 성묘에 다녀오는 등 평년과 같은 일상을 보냈다”면서 “오늘 진행된 기업소 강연회 등에서도 ‘적들의 공화국 침략 책동이 노골화 되고 있으니 국방과 경제, 모두에 힘을 집중해야 한다’는 내용의 교양만 진행됐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이어 “평양도 그렇고, 지방도 그렇고, 시장이 제대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농촌에서는 평년과 같이 농장원들의 농사준비를 다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 5일 평양 주재 외국공관과 북한에 상주사무소를 두고 있는 유엔 기구들에게 “이달 10일 이후 신변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우니 직원 철수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알려달라”고 통보한 바 있다.
북한 당국의 이같은 행보는 현재 한반도 긴장 상황의 책임을 미국이나 한국의 탓으로 돌리려는 일종의 ‘선수(先手)’가 아니냐는 해석을 낳는다. 미국과 한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을 준비하고 있는다는 주장을 국제사회에 확산시키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북한 내부에서 전쟁준비 분위기가 다소 느슨해진 것에 대해서는 일반 주민들을 전쟁준비에만 내몰 경우 한해 농사에 큰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북한 지도부의 현실적인 판단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한다.
북한 농촌에서는 지난 1월말부터 시작된 전투동원태세로 인해 대부분의 농민들이 ‘노농적위대’의 군사훈련에 차출되어 왔다. 도시 노동자들의 경우에도 전투동원태세로 인해 농사준비에 필요한 퇴비증산운동이나 농촌지원사업 등에서 효율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특히 지난 2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에서 채택된 ‘국방 경제 병진노선’을 힘있게 추진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비상 체제’로는 그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도 꼽힌다.
통상 북한에서는 최고인민회의 직후 전 주민들을 상대로 새로운 노선에 대한 정치교양과 해당 부서들의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현재 북한의 전쟁 분위기 속에서 최고인민회의에서 채택된 경제발전 전략은 추진하는 것에는 무리수가 많다는 것이 중론이다.
익명을 요구한 국방 관련 전문가는 “북한이 만약 군사도발을 선택한다 하더라도, 보병이나 일반 주민들이 포함된 예비병력을 앞세울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 “내부 체제결속 용 주민동원 행사는 이쯤에서 마무리하고, 미사일이나 장사정포, 특수전 무력을 동원한 실제적인 대남도발을 준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