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일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납치 피해자 요코다 메구미의 유골 진위 문제로 감정의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진 북한은 독도문제, 교과서 왜곡에만 머물지 않고 헌법개정, 미ㆍ일 군사협력 관계 강화 등 일본의 최근 움직임에 신경을 곤두세우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 매체의 일본에 대한 비판은 군국주의 경향과 관련지어 강한 경계심을 나타내는 한편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보복’을 언급하는 등 강경 대응을 천명하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반응은 일본의 대북 적대정책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남북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일본 시마네(島根)현의 ‘다케시마(竹島)의 날’ 제정 움직임에 대해 노동신문(3.11)은 “지금 일본반동이 안팎에서 벌이는 독도 강탈책동은 일본 군국주의 세력의 영토팽창 야망과 조선 재침기도의 발로”라며 “지난날 일제가 우리 민족에게 끼친 죄악을 총결산할 의지를 벼르고 있다”고 경고했다.
노동신문(3.6)은 일본의 교과서 왜곡에 대해서도 “그들은 위안부 문제는 이미 해결됐다는 얼빠진 소리를 줴쳐대면서(마구 외치면서) 과거청산을 회피하려고 무진애를 쓰고 있다”고 성토했다.
북한은 또 미ㆍ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 개최 등을 거론하며 자국을 겨냥해 일본이 군사동맹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3.12)은 일본과 미국이 지난달 열린 미ㆍ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에서 북한을 동북아의 ‘주되는 위협’으로 보고 군사적 동맹을 강화키로 했다며 “이에 대처,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북한은 비판에 머물지 않고 실제 행동에 나서고 있다.
박길연 유엔대사는 지난 7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일본의 유엔 안보리 진출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박 대사는 “과거범죄에 대해 반성도, 보상도 하지않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는 일본이 세계 평화와 안전 문제를 다루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 절대 될 수 없다는 것이 조선(북)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요코다 메구미 유골사건으로 일본 내서 일고 있는 대북 제재 움직임에 대해서도 “자위적 보복조치로 강경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외무성 비망록(3.2)도 일본의 대북제재 움직임에 반발, “원래 일본은 미국의 철저한 하수인으로서 6자회담에 참가할 자격도 없다”고 주장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