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은 11일 오후 제6차 6자회담 3차 수석대표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의제에 대한 합의내용을 담은 의장성명 형식의 합의문서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합의문서는 중국이 지난 9일 제시했던 검증의정서 초안을 수정한 내용과 경제에너지-불능화 완료 계획,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구축 계획 등이 담겨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한은 시료채취를 포함한 검증방법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바꿔 이날 오전 중국에 의정서 초안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중국측에 제시한 의견문에서 ▲시료채취를 포함한 검증의정서에 대해 논의할 의지가 있으며 ▲경제에너지 제공과 검증의정서를 연계한 측에서 지혜를 발휘해달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 소식통은 “북한의 의견은 미국 등이 요구한 시료채취를 수용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며, 한국과 일본이 강조한 검증의정서-에너지 지원 연계 방침을 풀어달라는 요구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은 일단 북한의 입장을 존중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오전 유명환 외교장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합의문서 채택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담에서 채택할 것이 유력한 합의문서는 북한이 거부해온 시료채취를 포함한 검증의정서 채택 가능성을 열어두는 동시에 비핵화 2단계 마무리를 신속히 하면서 핵폐기 협상의 시작을 예고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북한과 미국은 검증의정서에 담길 검증방법과 주체, 대상, 시기 등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리한 검증의정서를 마련하기 위해 추가적인 양자협의와 비핵화실무그룹회의를 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오후 4시(현지시간)께 6자수석대표회담을 열어 합의문과 관련한 각국의 입장을 최종적으로 타진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 상황에서 참가국들은 동의의사를 밝힐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날 출국하려던 한국 대표단은 출국을 12일로 미뤘고 13일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담을 위해 귀국해야 한다던 일본측과 이날 오후 평양으로 귀환할 것으로 알려졌던 북한측도 모두 회담장에 남았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