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일 불능화가 진행되던 영변 핵시설을 원상 복구시키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되면서 현재 불능화가 어디까지 진행됐으며 완전복구하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릴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핵시설 불능화는 지난해 2월 열린 북핵 6자회담 합의(2.13합의)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후 6자회담 참가국들은 비핵화 2단계 조치를 담은 10.3합의에서 불능화와 관련된 구체적인 조치를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부터 영변 5MW 실험용 원자로와 방사화학실험실(재처리시설), 핵연료봉 제조공장 등 영변 소재 핵심 핵시설을 대상으로 총 11가지의 불능화 조치가 시작됐다.
현재까지 8가지 조치가 완료됐다. 원자로내 ‘사용 후 연료봉(폐연료봉)’ 인출과 미사용연료봉 처리, 원자로 제어봉 구동장치 제거 등 3개 조치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다.
폐연료봉 인출은 북한이 나머지 참가국들의 상응조치 이행 속도에 맞춰 속도조절을 한 결과 현재 전체 8천개 중 약 60%인 4천800여개를 빼내 수조에 보관하고 있다.
또 제어봉 구동장치 제거의 경우 폐연료봉 인출이 마무리돼야 할 수 있으며 미사용 연료봉 처리는 그 방안을 놓고 6자회담 참가국들간에 논의가 진행돼 왔다.
북한이 취하고 있는 핵시설 복구 작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북한이 핵시설을 완전히 원상복구해 다시 핵무기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6자회담 틀에서 11개 불능화 조치에 합의했을 때 회담 당국자들은 복구에 약 1년이 걸리는 조치라고 설명했었다. 원자로 노심에서 폐연료봉을 빼 낼 경우 이를 다시 원상복구하는데만 1년은 걸린다는 것이 당시 당국자들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폐연료봉 인출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고 북한이 합의한 11개 불능화 조치에 더해 영변 냉각탑을 폭파시켰다는 점으로 미뤄 복구에 걸릴 시간은 정확히 추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북핵 문제에 정통한 한 외교 소식통은 “현 시점에서 복구에 얼마나 걸릴지 정확하게 추산할 수는 없지만 최소 6개월 안팎에서 최장 1년 정도는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