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1, 2개월 후 영변 핵시설 재가동 가능성”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는 3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이르면 1, 2개월 후 핵무기용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영변 핵시설을 가동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미연구소는 지난달 22일 촬영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잠정 결론을 도출했다며 “북한은 최근 5㎿급 가스흑연 원자로와 20~30㎿급 실험용 경수로 원자로를 포함해 영변 핵시설 가동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연구소는 “북한은 핵무기에 사용되는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5㎿급 원자로의 재가동에 필요한 작업을 마무리하고 있다”며 “원자로 2차 냉각을 위한 새로운 장치는 거의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영변 원자로의 재가동은 새로운 연료봉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지만 아직 불투명한 상태라고 밝혔다. 또 원자로가 완전 가동되기까지는 9~12개월간의 시험가동 기간이 필요하다면서 “일단 가동되면 한해 6㎏의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핵무기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38노스’는 지난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상업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 영변의 실험용 경수로가 완성 단계에 있다면서 연료가 충분하다면 올해 중반에 시험 가동, 내년 상반기에 완전 가동에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관측한 바 있다.


한편 북한 원자력총국은 지난 4월 초 5㎿급 흑연감속로를 포함한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상용 기자
sylee@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