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평양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고 내부 소식통이 알려왔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28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에볼라 비루스(바이러스) 전염을 막기 위해 ‘위생방역 중앙 지휘부’까지 설치됐다”면서 “또 10월 중순부터 지방 주민들의 평양시 출입을 막기 위해 여행증 발급을 제한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관혼상제를 목적으로 하는 사사여행자들에게는 평양시 출입승인 번호를 전혀 발급해 주지 않는다”며 “평양시 출입승인을 받은 공무원들인 경우, 도(道)위생방역소의 ‘역학(疫瘧)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절차까지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위(중앙)의 요구는 사업 관련한 문제는 가능하면 전화상으로 해결해 불필요한 인구 이동을 줄일 것을 지시했다”면서 “이 같은 조치들로 인해 지방의 무역기관 일꾼들과 장사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소개했다.
북한은 ‘수도(首都) 보위’ 명목으로 평양시는 물론 국경연선과 전연지역으로의 여행 및 출장을 제한하기 위해 승인번호를 발급해왔다. 승인번호는 지방의 인민보안국 2부에서 제출한 ‘여행증 발급 신청서’에 따라 평양의 인민보안부가 종합적으로 검토해 승인번호를 부여한다.
승인번호 하나로 제한해왔던 평양시 출입을 위생방역소의 역학증명서 발급까지 추가해 2중으로 통제를 강화한 것은 유동 인구로 인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철저히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2000년대 중반 조류독감이 확산됐을 당시 평양시 출입을 제한한 바 있으며, 평양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번처럼 각 도 위생방역소의 ‘역학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가능했다.
북한이 이처럼 평양시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감염자가 발생했을 경우 감염 경로 추적이 불가능하고, 감염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설비나 약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 낙후한 보건위생과 감염 예방 방역시스템이 잘 갖추어 있지 않은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지난 24일자 노동신문 ‘전염병에 의한 피해를 미리 막는 것이 급선무이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에볼라 비루스(바이러스)를 막기 위한 위생 방역사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도해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