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자체 개발 백신투여로 오히려 구제역 피해 확산”

지난달 중순 북한 평양과 황해북도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의 방역과 퇴치 및 백신 체계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다. 북한은 우리 측의 관련 지원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접촉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지난 23일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구제역 방역과 퇴치를 위한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북한에서 구제역 발생은 처음이 아니다. 세계동물보건기구는 지난 2010년 말부터 2011년 초까지 북한 평안북도 태천군과 황해북도 상원군, 신평군, 황주군, 강원도 금강군 등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이로 인해  돼지 1만 마리 이상과 소 1000여 마리 이상이 감염됐다고 보고했었다.


또한 2007년 구제역 피해상황을 국제구제수역사무국에 보고서를 통해 당시 구제역 의심사례 2630마리 모두 살처분했고, 감염은 없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감염 의심사례 466마리 중 431마리가 실제 감염으로 466마리 모두 살처분했다고 보고했다.


탈북자들은 북한은 구제역 같은 긴급조치가 필요한 가축 전염병이 발생해도 별도로 방역 및 확산예방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설비나 소독약을 투입하는 대책을 세울 만한 여건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예방백신을 투여한다고 하지만 효과는 거의 없다고 입을 모았다.


평안북도 태천군에서 살다 탈북한 박연숙(가명·45) 씨는 27일 데일리NK에 “위생 방역소에서 구제역 관련 자체로 개발한 약을 통해 예방 접종이 진행되기도 하고 소독약이 나오는데 그마저도 항시적으로 있는 게 아니고 이마저도 잘 듣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볏짚으로 불을 때고 난 다음에 따뜻한 온기가 남아 있는 재를 돈사 바닥에 뿌리게 하고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 전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솔직히 병에 걸려 죽었다고 해도 돼지 키우는 데 들어간 사료며 품을 생각하면 쉽게 포기할 수 없다”면서 “심지어는 죽은 돼지나 소를 가져다 먹거나 시장에 싸게 팔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은 상대적으로 양돈 밀도가 그리 높지 않고 주민들의 철저한 이동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피해가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권태진 농업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국은 개별 농가들에서 양돈업을 하지만 북한은 국가에서 운영하고 규모도 적어 방역 작업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개인이 사육하는 양돈이 많지 않아 전염 확산이 더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남한처럼 에어컨 같은 시설도 제대로 없지만 사육밀도가 전염확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약품도 제대로 없지만 2010년 당시에도 20~30% 정도의 폐사율을 기록한 것으로 안다”고 부연했다.


박 씨도 “북한 당국은 구제역 발생지역에는 여행증명서도 떼 주지(발급) 않고 외부사람도 못 들어가게 하는 조치를 취한다”면서 “북한의 이런 주민 통제가 전염병 확산 문제에서는 다행히 좋은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