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식량을 시장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근 식량 구매 시 외화 사용을 허용한 것으로 뒤늦게 전해졌다.
강력한 대북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경제난이 가중되면서 당국이 외화 흡수 전략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28일 데일리NK에 “최근 국가시장판매소에서 식량을 살 때 외화를 사용해도 된다는 지시가 하달됐다”면서 “이에 따라 회령시에 곳곳에 설치된 국가시장판매소에서는 비(인민폐)로 실제 거래가 이뤄지기도 했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당국은 이번 지시를 하달할 때 지역별 특성에 맞는 외화를 사용해도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주민들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어떻게든 외화를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읽혀지는 대목이다.
실제로 이달 중순 공화국 창건일(9‧9절)을 맞아 세대당 10일치의 식량을 공급하면서 회령시에서는 ‘중국돈 사용도 가능하고 국돈으로 사는 것보다 이익’이라는 선전도 진행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 일반적으로 평양 등 내륙 지역은 달러를, 함북, 양강도, 평안북도 등 북중 접경지역은 위안화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회령시에서는 외화로 식량을 공급받을 때 쌀 1kg당 중국돈 4원 55전으로 판매했다고 한다. 지난 12일 기준 중국 위안화 환율(1위안=북한 돈 700원)으로 계산해 보면 3190원에 식량을 구매할 수 있게 했다는 뜻이다.
이는 실제 내화로 구매한 것(1kg에 4000원)보다 800원 정도 싼 가격이다. 이에 따라 당시 중국돈으로 식량을 구매하려는 주민들이 적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주민들 입장에서 보면 저렴하게 쌀을 공급받을 수 있었고, 당국 입장에서는 주민들 수중에 있던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외화를 확보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하지만 당국은 시장에서 외화를 통한 상거래는 철저히 금지하는 정책을 고수했다고 한다. 외화가 자연스럽게 당국에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여러 장치를 쓰고 있는 것이라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