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담화에서 “이제 북한 스스로 군사적 모험주의와 핵을 포기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서 “더 이상의 인내와 관용은 더 큰 도발만을 키운다는 것을 우리 국민은 분명히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정권을 옹호해 온 사람들도 연평도 공격으로 북한의 진면목을 깨달았을 것”이라며 “협박에 못이긴 굴욕적 평화는 결국 더 큰 화를 불러온다는 것이 역사적 교훈”이라며 햇볕정책의 과오를 밟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단호한 표정으로 “앞으로 북의 도발에는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며 “어떤 도발에도 물러서지 않는 것이 도발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년 가까이 우리는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고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지만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도발이었다”면서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 더 이상의 인내는 북한의 도발만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천안함 폭침을 놓고 국론이 분열되었던 것과는 달리, 이번처럼 국민의 단합된 모습 앞에서는 북한의 어떠한 분열 책동도 발붙이지 못할 것”이라며 “저는 우리 국민과 함께 결단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담화를 시작하면서 “대통령으로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이 자리에 섰다”면서 “무고한 우리 국민이 목숨을 잃고 삶의 터전이 파괴된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고 송구스런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서정우 하사 등 희생자와 부상자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은 지금까지 수없이 많은 도발을 자행했지만, 우리 영토를 이번처럼 직접 포격한 것은 처음”이라며 “민간인을 향해 군사 공격을 하는 것은 전시에도 엄격히 금지되는 반인륜적 범죄”라고 말했다.
이어 “포탄이 떨어진 불과 십여 미터 옆은 학생들이 수업을 하던 곳이었다”면서 “어린 생명조차 안중에 없는 북한 정권의 잔혹함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정상들 뿐만 아니라 러시아를 포함한 많은 나라들이 북한의 만행을 규탄하고 우리의 입장을 적극 지지해 주었다”면서 국제사회의 지지와 국민의 단결된 힘을 통해 안보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