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내부 소식 유출을 막기 위해 국경 지역 보위부(한국의 국가정보원 격)에 관련 긴급지시문을 하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지시문에는 지역 보위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경고도 담겨있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양강도 소식통은 19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지난 6월 중순 혜산시 보위부에 내부 비밀유출을 엄격히 차단하라는 지시문이 하달됐다”면서 “특히 지시문은 보위원들에 의한 정보 유출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서로가 단속하라는 내용도 강조됐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이번에 내려온 지시문에는 과거 보위부에서 여러 차례 외국산 손전화(휴대전화)로 비밀유출을 하다 잡힌 적 있다는 지적이 담겼다”며 “지시문은 이를 엄격히 차단하기 위해 보위부 내에서도 자체 투쟁을 강하게 벌릴 것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압수한 휴대전화를 이용해 내부정보를 유출한 일부 보위부원에게 일종의 경고 메시지를 전하면서 흐트러진 내부 기강을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북한 당국은 보위부원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을 통한 정보 유출에도 신경을 쓰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지시문에는 보위부 가족들의 입단속과 더불어 중국을 비롯한 외국에 나가는 대상에서 보위부 가족들이 포함되는 것을 철저히 금지하라는 지적도 있었다”면서 “당국이 보위부 가족들을 통해 비밀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실제 북한 당국이 해외로 나가는 외화벌이 일꾼 대상에서 보위부 가족을 제외했는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최근 북한 당국은 국경 지역에서 내부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 지방인민회의 대의원선거라는 국가적 행사가 겹치자 북한 당국이 보위부에 정보 유출 단속의 강도를 높이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본지는 이달 초 일부 국경 지역에 내부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거수자(거동수상자) 신고 훈련’이 진행됐으며 지난 5월에는 군(郡) 보위부 부부장이 직접 나서 주민들에게 정보 유출에 대한 감시와 신고 강화와 관련 강연을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북한 당국은 이번 지시문을 통해 보위부 내의 부정부패 문제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지시문에는 도강(渡江)으로 잡혀도 돈을 받아먹고 풀어주는 행위를 비롯한 문제와 관련된 지적도 있었다”면서 “이에 대한 비타협적인 투쟁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강조돼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