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9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가 9월 2일 개성공단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날 우리 정부가 북측에 공동위 1차 회의를 내달 2일 개성공단에서 개최하자고 제의한 데 대해 북측이 동의한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과 남은 개성공단 공업지구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데 따라 그를 위한 실천적 조치로서 28일 개성공업지구 북남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를 채택했다”면서 “개성공업지구 북남공동위원회 제1차 회의는 9월 2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남북이 공동위 산하에 “상설사무처와 필요한 분과들을 내오고 개성공업지구 운영 과정에 제기되는 문제들을 협의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28일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합의서 문안에 양측이 합의했고 서명하는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고 밝혔다. 남북은 그동안 판문점을 통해 문서를 서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개성공단 관련 합의안 조율 작업을 벌여왔다.
합의서는 공동위원장에 임명될 것으로 알려진 남측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과 북측의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각각 서명하면 발효된다.
반면 남북은 금강산 관광재개를 위한 실무회담 날짜를 놓고는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북한은 이날 ‘금강산 회담을 당초 제안일(9월 25일)보다 1주일 늦은 10월 2일 개최하자’는 정부의 27일 수정 제의에 “다시 생각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정오경 통일전선부 명의로 보내온 통지문에서 8월 말∼9월 초에 개최하자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오후 7시경 “10월 2일 수정제안은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및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준비가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심사숙고한 결과”라며 입장을 고수해 회담 날짜를 놓고 북한과의 신경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