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은 ‘깡패같은 행동’”

당.정.청은 14일 북한 핵실험 사태 이후 첫 6인 회동을 갖고 그간 불거졌던 여권내 시각차에 대한 수습에 나섰다.

여권 수뇌부는 2시간가량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확대 문제 등 최근 당정갈등의 진원지가 됐던 주요 현안에 관해 두루 의견을 교환하고, ‘유엔 결의안 채택 이후 더욱 긴밀하게 논의하면서 협력하자’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유엔 결의안 채택을 앞두고 열린 수뇌부 회동이었던 만큼 북핵사태 이후 당.정.청간 견해차에 대한 조율을 시도하고, 결의안 채택 이후의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일종의 ‘과도기적’ 성격의 모임이었던 셈이다.

이는 북핵실험이라는 국가적 안보위기 상황 속에서 여권의 ‘컨트럴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현 정부과 집권여당이 신속한 위기관리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비판여론을 감안, 안보리 결의안 채택을 전후한 범여권의 대응방안 등을 점검하는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여권 수뇌는 지금껏 개최 사실 자체를 비밀로 했던 ‘관행’을 깨고 회동 시작 장면을 이례적으로 언론에 공개하는 등 여론을 의식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한명숙(韓明淑) 총리는 인사말에서 “북한의 핵실험 발표 이후 당과 급히 조율해 국민을 안심시키려 했는데 사흘간 국회가 열려 좀 늦은 감이 있다”며 “경제상황과 국민불안에 대해 정부와 당이 중심을 잡고 해소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에 대해 이 자리에서 건설적 토론이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당정간 이상기류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당과는 항상 이야기를 한다”고 밝혀 협의채널이 상시가동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최근 PSI 참여확대 문제 놓고 정부를 향해 여러차례 강도높은 경고 메시지를 보냈던 김근태(金槿泰) 의장도 “어떻게 보면 총리와 당은 역할분담 하는 것”이라며 “그걸(역할분담) 통해 국민 의 신뢰를 얻어가야 한다”고 화답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도 “한반도에서의 무력개입이 예상되는 어떤 조치에도 우리당은 반대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한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지만, 북한의 핵실험을 ‘깡패같은 행동’이라고 표현하면서 “무력충돌을 위한 제재가 아니라 대화를 위한 제재는 필요하다”고 말하는 등 정부 입장을 양해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여권 수뇌부는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기존의 입장차이를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웅래(盧雄來)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간담회 직후 브리핑에서 “당측에서는 한반도 평화번영정책의 근간은 변할 수 없으며, PSI도 현기조를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측 참석자들은 “당과 인식을 공유한다”면서도 당의 요구를 합의문에 그대로 포함시키는 데에는 난색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부대표도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 속에서 문제를 풀 수 있다는데 방점을 두고 있고, 당은 무력충돌이 생길수 있는 여지조차 없어야 된다는 점에 방점을 찍은 것”이라며 분위기를 전해 PSI참여 확대와 국제적인 제재 동참 문제를 놓고는 여전히 의견차이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이날 여권 수뇌부 회동은 전날 당 지도부의 요청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찬 간담회에는 한 총리와 김근태 의장, 김한길 원내대표를 비롯해 우리당 문희상(文喜相) 북핵대책특위 위원장, 청와대 이병완(李炳浣) 비서실장과 송민순(宋旻淳)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참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