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 매주 수요일 북한 경제를 알아보는 ‘장마당 동향’ 시간입니다. 9일 이 시간에는 강미진 기자와 함께 북한 장마당 상황 알아볼 텐데요. 먼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정보’ 듣고 강 기자 모시겠습니다.
지난주 북한의 쌀값과 환율을 비롯해 북한 장마당에서의 쌀 가격과 환율거래 동향을 알려드립니다. 먼저 쌀 가격인데요, 지난주에 이어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4~500원 정도 올라 평양에서는 1kg당 5400원, 신의주도 5400원, 혜산은 5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옥수수 가격입니다. 1kg당 평양은 2050원, 신의주 2100원, 혜산 22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환율입니다. 1달러 당 평양 8640원, 신의주 8760원, 혜산은 8800원이구요, 1위안 당 평양은 1320원, 신의주 1340원, 혜산 13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일부 품목들에 대한 가격입니다. 돼지고기는 1kg당 평양 12000원, 신의주 12500원, 혜산 12500원, 휘발유는 1kg당 평양 7500원, 신의주 7500원, 혜산에서는 7500원, 디젤유는 1kg당 평양 5550원, 신의주 5450원, 혜산은 53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동향’이었습니다.
1. 네 지금까지 북한 장마당 물가를 들어봤는데요, 북한은 요즘 눈도 내리고 날씨도 한결 추워졌다고 합니다. 겨울이 찾아온 북한의 장마당에서는 최근 색다른 풍경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 이 시간에도 강미진 기자와 관련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강 기자 소식 전해 주시죠.
네, 북한 내부 소식통이 보내온 소식에 의하면 최근 양강도 혜산시 장마당에서 가스를 구매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얼린 감자떡과 농마국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 시간을 통해 장마당에서의 가스통 구매와 감자떡, 농마국수판매 현황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식을 전해온 내부 주민에 의하면 장마당에서 가스통을 구매해가지고 가는 주민들은 다른 장사꾼들에게도 부러움의 대상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주민들을 가리켜 주민들 속에서는 일명 ‘있는 집’으로 통한다고 하네요. 이 소식을 보내온 북한 주민은 최근 장마당에서 비싼 가스통을 구매하는 주민들을 이따금 볼 수 있다면서 주민들의 생활이 이전보다 많이 좋아졌다는 것을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에서는 있는 집이라고 하면 주변의 부러움을 사기도 하는데요, 오늘 시간에 이야기되는 있는 집들의 경제적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들어보면 다른 주민들도 깜짝 놀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북한의 ‘잘 사는 집’ 이야기를 나눠볼까요.
2. 제가 알기론 양강도에서는 장작이나 석탄을 이용하여 난방과 취사를 하는 주민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지금 이야기하는 지역이 양강도가 맞나요?
네 맞습니다. 소식통은 “양강도의 대부분 가정들은 장작이나 구멍탄(연탄)을 사용하여 취사를 하는데 최근에는 새로운 방식이 많이 유행되고 있어서 그런지 가스로 취사를 하고 있는 집들이 늘고 있는 추세”라면서 “아직까지는 평양처럼 가스로 밥을 하는 것이 일반화돼 있지 않고 돈이 있는 집들만 가스통을 사가기 때문에 장마당에서는 이들을 일명 ‘있는 집’으로 부른다”고 말했습니다.
저도 고향이 양강도이고 대부분 양강도에서 자랐기 때문에 양강도 주민들의 생활 수준을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해왔습니다.
실지로 많은 주민들이 장작이나 석탄으로 만든 구멍탄으로 난방해결을 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가스 난방과 취사는 평양이나 함흥과 같은 대도시 있는 집들만 하는 지 알았습니다. 저도 주로 나무로 난방이나 취사를 했었고 저의 주변에서도 가스를 사용하는 집들이 없었는데 최근 이렇게 가스를 사용하는 집들이 늘고 있다는 것은 북한에도 빠른 변화가 오고 있다는 신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전화로 가스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에는 북한에서 사용하던 자그마한 석유곤로나 가스곤로용 가스통를 구매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웬걸요, 한국처럼 주방에 가스통을 설치하고 취사용으로 한국과 같은 가스렌지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3. 최근 몇년간 주민들이 장사 행위에 대한 통제가 느슨해지면서 주민들의 생활이 조금 나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가스통을 구입하는 가정이면 북한에서 잘 사는 부유층이라고 해도 될까요?
네 소식통도 최근 장사가 활성화되면서 잘 사는 사람과 못사는 사람의 차이는 고난의 행군시기 때보다 훨씬 차이가 심해졌다고 전했는데요, 난방용이나 취사용 화목도 1립방씩 많은 양을 사는 장사꾼이 있는가 하면 최신식으로 가스렌지를 사용하는 집들도 늘고 있다고 전해왔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혜산 장마당에서 가스 1kg은 중국 돈 18위안으로 북한 돈 25000원인데요, 한통에 20kg인 가스를 사려면 북한 돈으로 50만원이 있어야 합니다. 장마당에서 쌀 1kg에 대략 5000원이라고 봐도 가스 한통을 사는데 드는 돈으로 쌀 100kg을 살 수 있는데 일반 주민들에겐 엄청나게 큰 돈이죠.
아마도 화폐개혁으로 전 재산을 날려 보내고 바닥에서부터 다시 일어서야 하는 주민들은 얼마나 속상할지 보지 않아도 그 심정을 알 것 같아요, 가스사용을 하는 주민들의 생활은 상류층에서도 잘 사는 부류로 평가된다는 것이 소식통의 말입니다. 소식통은 “장사하는 것을 통제 안 하면서 좋아진 집들이 많아졌는데 돈이 돈을 낳는다는 말처럼 잘 사는 집들은 더 잘살고 못사는 집들은 더 어렵게 되는 판국”이라면서 “있는 집에서 한 달을 쓰는 돈으로 일반 주민들은 1년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4. 그럼 가스 구매자들이 장마당에서 50만원을 주고 구매한 가스통으로 얼마 동안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네 소식통은 50만원에 구매한 가스로는 대략 20일가량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이런 것을 두고 일부 주민들은 ‘겨울을 날 수 있는 돈을 한 달도 안 돼 다 써버리는 격’이라고 말한다면서 “일반 가정들은 내년 봄까지 사용할 월동용 석탄이나 나무를 사는데 보통 60~70만원을 썼는데 이에 비하면 20여일 만에 50만원을 쓰는 집들의 생활은 물어보지 않아도 알 수 있다”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이런 부류의 주민들은 주로 화교나 돈주들도 있지만 일부는 남한에 정착한 탈북민들의 방조를 받는 가족들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북한에 있는 가족들을 위해 보낸 돈으로 부를 축적한 일부 탈북자 가족들이 부유한 생활을 하고 있다고 소식통 말했습니다.
5.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은 부유한 생활을 하는 돈주들을 부러워하기도 할 것 같네요?
물론 부러워할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북한 주민 대부분은 남의 것을 무턱대고 부러워하지 않는답니다. 일부 주민들은 ‘돈 있는 사람들은 그런 사람들대로의 방식으로 살고 우리는 없으니까 없는 대로 절약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이라는 말로 위로감을 느끼기도 한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고난의 행군 이후 경제적인 타격을 수차례 받아오면서도 그때마다 자력으로 어려운 난관을 헤쳐 나가는 주민들의 생활력이 아닐까요. 이런 계기를 통해 북한 주민들은 당국을 믿지 않게 되고 그런 것이 쌓여가면서 당국에 대한 불신이 커가는 거죠.
6. 지난번 북한이 소개한 영상을 보니까 과학자 살림집에서 가스로 취사를 하는 장면이 소개가 되던데요, 이런 아파트들이 많은가요?
북한이 최근에 최신식 아파트들을 많이 건설하고 있는데요, 이런 아파트들 대부분이 가스를 이용하여 취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 아파트 이외 다른 아파트들은 이미 구멍탄을 사용하게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가스를 사용하는 아파트들이 많지는 않다고 합니다. 지방에서도 소식통이 말한 것처럼 돈이 꽤 있는 집들에서나 가스렌지를 사용하고 일반화되고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한편 평양의 최신식 아파트들인 과학자살림집 등은 모두 가스로 밥을 하고 아파트 공동보일러를 통해 난방도 해결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7. 북한 일반 주민들도 최신식 아파트에서 살 수 있는 날이 꼭 올거라는 기대를 해봅니다. 다음 이야기는 겨울이 되면서 감자떡과 얼린 농마국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면서요?
네, 겨울이 되면서 감자떡 장사꾼들이 활기차게 장사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맘 때면 장마당에서 감자떡이 잘 팔리던 생각도 생생합니다. 최근에는 다른 지역의 주민들까지 구매하려고 몰려들고 있어서 감자떡 장사가 더 잘 되고 있다고 합니다. 감자떡을 만든 후 밖에서 얼려서 다른 곳에서 온 장사꾼들에게 되넘겨서 판매하는데요, 감자떡은 얼렸던 것을 쪄내면 더 쫄깃해지고 맛이 납니다. 감자떡은 양강도 현지에서도 잘 팔리는데 이것이 입소문을 타고 다른 지역으로까지 소문이 나면서 감자떡 도매꾼들이 등장했다고 합니다.
보통 감자떡은 개수로 팔리고 있는데요, 주먹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빚어진 감자떡은 개당 250원을 한답니다. 그런데 팔 때 250원이지만 도매로 넘겨줄 때에는 150원으로 넘겨준다고 합니다. 이런 감자떡은 다른 지역으로 가면 개당 250원이나 300원에 팔려나가게 되는데요, 감자떡을 만들어 먹지 않는 다른 지역들에서는 감자떡도 인기랍니다.
8.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감자떡 이야기만 들어도 군침이 도는데요, 감자떡은 어떻게 만드나요?
네. 감자떡은 감자껍질을 벗기고 난 후 강판에 갈아야 합니다. 그런 다음 채에다 여러 번 걸러냅니다. 그리고 보에 물기를 꽉 짜고 가마에 살짝 쪄냅니다. 너무 익히면 감자떡이 물러질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살짝만 쪄내는데요, 쪄낸 다음 다시 반죽을 하고 남새(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가마에 쪄내면 맛난 감자떡이 된답니다. 갑자기 감자떡 먹고 싶어지는데요, 이번 주말에는 감자떡을 만들어 먹고 싶네요.
9. 지난 시간에 뜨끈한 농마국수도 잘 팔린다는 이야기 했었는데 오늘은 얼린 국수가 인기라죠?
네, 얼린 국수는 말 그대로 만든 국수를 얼린 것입니다. 농마국수는 감자떡처럼 얼렸다 데워서 먹으면 더 쫄깃하고 맛나답니다. 농마국수는 자그마하게 사리를 만들어 얼리는데요, 감자떡처럼 다른 지역으로는 판매되지 않지만 주민들이 즐겨 구매해간다고 합니다. 한겨울 농마국수를 눌러서 창고에 얼렸다가 먹고 싶을 때마다 먹었던 기억도 나고요, 오늘은 감자떡 농마국수 모두 먹고 싶어서 고향생각이 절로 나네요.
오늘도 저희 국민통일방송이 전하는 장마당에서의 가스통 구매이야기와 감자떡, 농마국수가 잘 팔린다는 이야기, 끝까지 들어주신 북한 주민 여러분, 추은 날씨에 감기조심하시고 건강히 지내시길 바라면서 저는 다음 시간에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