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의 방북편을 통해 5일 김정일에게 친서를 보낸 것으로 확인되면서 친서가 미칠 파장에 북핵 외교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시 대통령의 친서가 더욱 관심을 끄는 이유는 김정일이 그동안 부시 대통령에게 관계정상화를 바라는 친서를 여러차례 보낸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 번도 답신을 보내지 않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친서를 보냈기 때문.
미 국무부는 6일 부시 대통령이 김정일에 보낸 친서에는 북한의 전면적인 핵 신고가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 북핵 정책에 대한 부시의 개인적 관심과 지지를 보여주기 위한 분명하고 솔직한 메시지가 담겼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친서는 “친애하는 위원장께(Dear Mr. Chairman)”으로 식작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북한을 ‘악의 축(exis of evil)’으로 지목하고, 김정일을 ‘피그미”주민을 굶주리게하는 독재자’라며 극도의 혐오감을 피력했던 과거와는 큰 변화를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데이너 페리노 미 백악관 대변인의 설명에 따르면, 김정일이 “북한 국방위원회 위원장이기 때문에” 이 같은 문구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또한 친서는 “충심으로(Sincerely)”라는 말로 끝나고 부시가 친필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페리노 대변인은 “완전하고 정확한 신고를 하는건 당신들, 북한에 달려 있다. 만일 당신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당신이 그렇지 않다는 걸 알게될 것”이라는 단호한 메시지를 전했다고 밝혔다.
친서 전문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분명한 것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를 앞두고 부시 대통령이 김정일에게 첫 친서를 보냈다는 것. 이는 현재 시점이 비핵화 로드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시 대통령은 임기가 불과 1년여 밖에 남지 않았지만 좀처럼 풀리지 않는 중동문제로 인해 현재 유일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 곳이 북핵문제 해결이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
때문에 영변 핵시설 연내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는 ‘비핵화 2단계 로드맵’을 완성하고 북핵 폐기 단계로 곧바로 넘어갈 수 있을지, 아니면 여기에 발목이 잡혀 시간을 또 허비할지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
페리노 대변인도 부시 대통령의 친서에는 북핵 협상이 “중대 기로(critical juncture)에 처해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그동안 힐 차관보의 입을 통해 여러번 강조한 바 있는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추출된 플루토늄 총량, 핵확산 의혹 등에 대한 불성실한 신고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북한의 완전한 핵 프로그램 신고를 유인하기 위해 부시 대통령은 북한에 적극적인 관계정상화 의지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AP통신은 친서 요약본을 자체 입수했다면서 친서에는 “우리가 계속해서 진전을 이루려면 핵 프로그램 신고가 완전하고 정확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북한이 완전히 신고할 경우 관계정상화를 추진할 가능성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북핵 외교가에선 이번 친서를 통해 ‘충분하고도 완전한 핵 프로그램의 신고’를 강조하면서 이에 대한 상응 조치로 ▲대북 테러지원국 지정 및 적성국교역법 적용 종료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한 4자 정상회담 ▲경제 지원 및 체제 보장 등도 언급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최대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외교가에선 이제 공은 북한에 넘어갔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일단 부시 대통령의 친서 전달 사실을 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즉각 공개한 것은 긍정적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친서 전달 사실을 공개한만큼 부시 대통령의 의중을 존중한다는 뜻 아니겠냐는 것.
하지만 친서 전달 사실을 공개한 것은 북한 내부적으로 김정일의 치적으로 치켜세워지면서 주민들의 충성을 동원하는 소재로도 적극 이용될 가능성도 있다.
1994년 제네바 합의에 따른 클린턴 대통령의 서한에 대해, 북한은 내부적으로 미국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굴복한 것으로 선전했었다. 그러나 당시와는 달리 이번엔 친서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골적으로 내부정치에 이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북한이 이번 기회를 통해 북한에 제기됐던 모든 핵개발 의혹과 실체를 규명하고 미국과 관계정상화를 모색할지는 연말까지 완료하기로한 북핵 신고서에 달려있다.
북핵 6자회담과 미북관계의 향방이 북핵 신고서 한 장에 달려있는 것. 북한이 부시 대통령의 친서에 적극 화답해 UEP, 플루토늄 등 모든 의혹들이 일거에 규명된다면 미북관계의 일대 진전을 위한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6자회담의 진전과 종전선언을 위한 4자 정상회담도 예상보다 빨라 현실로 다가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결정적 키(key)는 김정일이 쥐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