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20일(현지시간) 정상회담 뒤 가진 백악관 오찬에서 미진했던 북한 논의를 계속한 것으로 알려져 이 대화 내용과 북핵 6자회담 전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미중 정상회담에 관한 브리핑을 한 데니스 와일더 백악관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대리는 자신이 양국 정상 오찬 테이블에 앉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다”면서도 두 정상이 북한 문제에 관해 “계속 논의했다”고 밝혔다.
후 주석이 방북한 데 이어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방중했던 만큼 후 주석이 부시 대통령에게 “김정일로부터 들은 말을 전했는가, 또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유인책을 내놓도록 촉구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와일더 보좌관은 오찬 대화 내용은 모르지만, 공식 정상회담 내용을 보면, 후 주석이 6자회담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좌절감”을 표시하고 진전 방안을 찾기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이며, 회담 재개를 열망하면서 이를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만큼 재개 방안을 찾아보자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후 주석은 또 북한의 위폐문제에 따른 대북 금융제재로 인해 “북한이 좀 당황해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와일더 보좌관은 덧붙이고, 그렇다고 후 주석이 금융제재 조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한 것은 “전혀(in any way, shape or form)” 아니고 “그저 북한이 북한 관점에선 이를 장애물이라는 뜻을 밝히고 있다고 말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와일더 보좌관의 이러한 설명으로 미뤄, 부시 대통령과 후 주석은 오찬장에서 대북 금융제제와 북한의 반응, 이로 인한 6자회담 교착 상태 타개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후 주석이 근래 2차례 걸친 김 위원장과 대화 내용을 토대로 김 위원장의입장을 부시 대통령에게 소상하게 전하고, 부시 대통령은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을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며, 이 경우 후 주석이 귀국 후 김 위원장에게 전달할 내용과 김 위원장의 반응이 6자회담과 북핵문제 전도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 단계에선 모두 추측 수준을 벗어날 수 없지만, 중국과 정례적으로 북한 장래에 관한 전략대화를 갖는 로버트 졸릭 미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17일 국제경제연구소(IIE)에서 후 주석의 방미 목적에 대해 말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졸릭 부장관은 “김정일이 덩샤오핑(鄧小平)의 1992년 남순(南巡) 코스를 밟은 이래 미.중 양국 정상이 만날 기회가 없었는데, 나는 그 이후 중국에 가서 그에 관해 논의한 일이 있다”며 “후 주석이 김정일의 남순으로부터 북한의 미래전망에 관해 어떤 결론을 내렸는지를 부시 대통령에게 말해준다면 매우 흥미로운 일일 것이며, 나는 그렇게 권하고 싶다”고 말했었다.
와일더 보좌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남순을 언급하며 “그 방문 목적의 일부는 중국측이 사회 개방과 변화의 이득을 보여주려는 시도였다”고 말해 후 주석이 부시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의 방중 내용을 전하고 이를 토대로 양 정상이 북핵 문제와 그 너머의 북한 미래에 관해 논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와일더 보좌관은 특히 “중국이 사회를 변화시키면서도 북한이 아마 두려워하는 와해로 이어지지 않았잖느냐”고 지적했다.
북한이 전략적 결단을 내려 핵을 포기하고 중국처럼 사회를 개방하는 쪽으로 나서면 미국이 체제붕괴를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로도 읽힌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목표에 대해선 일치하면서도 그 달성 방법, 특히 북한을 다루는 방식에선 쉽게 좁혀질 수 없는 간극이 있는 점을 감안하면, 미중 정상이 오찬대화에서 접점을 찾았을 것이라고 성급하게 단정할 수도 없다.
마이클 그린 전 백악관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부시 대통령이 환영사에서 중국이 북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촉구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부시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좌절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린 전 보좌관은 “공개연설에서 타국에 대한 기대치를 밝히는 것은 통상적인 게 아니다”며 “이는 미국이 북한의 협상 테이블 복귀를 위한 중국의 노력에 만족하지 않고 있다는 신호를 강하게 보내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나 후 주석은 ‘상당한 영향력’ 행사 촉구에 “나는 매우 열심히 하고 있다”거나 “외교적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위해 미국과 협력해왔다고 말하는 등 역시 중국의 기존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북핵문제에 정통한 한 외교소식통은 오찬 대화 내용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두 정상이 북핵 진전방안에 관해 긍정적인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재규(朴在圭) 전 통일부장관은 전화통화에서 후 주석 방미의 북핵관련 의미에 대해 졸릭 부장관과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과 대화 내용을 부시 대통령에게 전하고 이어 “자신이 파악한 부시 대통령의 뜻과 워싱턴 분위기를 북한에 전달하고나면 북한이 회담에 복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 전 장관도 그러나 복귀 예상을 단정하는 게 아니라 “오래 끌면 북한에 도움이 안된다”며 “미국이 6자회담에서 위폐 제재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쪽으로 바뀌지 않았느냐”고 북한의 결단을 촉구하는 입장이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