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즈워스 “6자회담 재개 시기 아직 미정”

지난 8~10일 평양 방북 이후 6자회담 관련국들을 순방하며 북핵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6자회담 재개 시기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14일(현지시각) 말했다.


보즈워스 대표는 이날 러시아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알렉세이 보로다브킨 외무차관 등과 방북결과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북한이 언제 6자회담에 복귀해 비핵화 협상을 할 지에 대한 구체적 시간표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우리 파트너들은 가능한 한 빨리 북한 비핵화 협상이 재개되기를 원하고 있다”며 “미국은 그것을 준비하고 있으며, 다른 당사국들 또한 그렇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북 평화협정 체결에 대해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기본적으로 선결돼야 한다”며 ‘선(先) 평화협정 체결, 후(後) 핵폐기’라는 북한의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의 방침을 재확인했다.


방북 후 한국, 중국, 일본에 이어 마지막으로 러시아를 찾은 보즈워스 대표는 “러시아와 미국은 북한이 6자회담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또 9·19 공동성명의 합의 이행을 재개하는데 공감하고 있다고 밝힌 것에 매우 만족스러워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태국 당국이 북한산 무기를 선적한 수송기를 억류한 사건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1874호를 이행하려는 국제사회의 공통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로다브킨 차관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효과적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데 만족하고 있다”며 “이번 제재는 북한산 무기를 수출하려는 어떤 시도도 (성공할) 가망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즈워스 대표는 15일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함께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대북특사로 지난달 북한을 다녀온 자크 랑 하원의원을 만나 북한의 6자회담 복귀 가능성 등을 논의하고 워싱턴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한편, 우리 측 6자회담 수석 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17일 모스크바를 방문해 보로다브킨 차관과 회동,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양국 및 5자 간 공조 방안과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