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한-북한-버마 민주화 운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국의 민주화는 아시아 민주주의 발전 측면에서 접근해 적극적으로 연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고려대 국제대학원, 열린북한방송(대표 하태경)과 버마의 민족민주연맹(NLD) 한국지부 등이 개최한 ‘버마-북한 민주화 운동가들과의 대화’ 토론회에서 양국의 운동가들은 북한과 버마의 군부독재라는 것에 의견을 같이하면서 향후 교류와 연대를 통해 버마와 북한 등 아시아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의견을 같이했다.
아시아에서 대표적인 독재국가로 꼽히는 북한과 버마의 민주화를 위해 양국의 운동가들이 토론회를 여는 것이 이번이 처음이다.
참석자들은 버마와 북한은 독재국가로서 인권 탄압 등이 자행되고 있다는 공통성은 지적하면서도, 북한 같은 경우 버마와 같이 내부로부터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완전 통제된 사회라고 평가했다.
이들은 해결방안으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내부에 외부정보를 유입시키는 정보확산이야말로 북한에 가장 필요한 민주화 운동이라고 역설했다.
버마의 독재 실상에 대해 발표한 조모아 민족민주연맹 집행위원은 “버마와 북한의 독재는 군부독재이기 때문에 비슷한 면이 있지만 양국의 구체적인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도출하기에 어려움 면이 있다”면서도 “북한의 실체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유입시키는 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샤린 기획실장은 “버마와 북한은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국제사회에서 양국의 문제에 대해 개입하기 어려운 조건에 있다”면서 “(정보유입이)어렵더라도 그러한 정보를 접하는 북한 주민들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조 실장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통해 북한의 변화를 조금씩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창록 고려대 국제대학원 원장은 “북한의 민주화 운동가들이 없다는 측면에서 버마에 비해 북한이 더 열악하다고 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양국의 인권, 난민 문제 등이 심각하다”면서 “버마-북한의 민주화 방안에 대한 토론을 통해 난민, 인권 문제 등에 대해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 좌파들이 버마 민주화에 대해서는 높은 관심을 갖고 있지만, 북한민주화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홍진표 자유주의연대 사무총장은 “버마와 북한은 남한의 1987년 6∙29선언과 같은 정권과의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없는 독재정권”이라면서 “그런데 남한의 좌파세력은 버마 민주화 운동에 대해 적극 이야기하면서 북한의 민주화에 대해서는 무관심 내지는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마웅저 버마 시민행동 활동가와 버마 민족민주연맹 한국지부 조모아 집행위원, 조샤린 기획실장, 탈북자 강철환 씨, 홍진표 자유주의연대 사무총장, 김영환 시대정신 편집위원, 조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광백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