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측, ‘반역자’ 언급에 “역사도 모르는…”

6·25전쟁 당시 최일선 야전사령관으로 활약한 백선엽 장군을 ‘민족반역자’라고 부른 청년비례대표 출신 김광진 민주통합당 의원의 발언에 대해 백 장군 측은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지난 19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민간업체가 민족반역자인 백선엽 장권과 관련된 뮤지컬을 제작하는데 국방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김 의원의 민족반역자 발언’에 대해 “그(백 장군)보다 더 훌륭한 분들도 많은데 논란이 있는 사람을 대상자로 선정해 지원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취지에서 한 발언”이라며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가기관이 발표한 자료이기 때문에 별도의 입장을 밝히고 할 사안은 아니”라며 “의원님이 여전히 (백 장군을)’민족반역자’로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대답하기 곤란하다”고 말을 아꼈다.





이에 대해 백선엽 장군의 보좌관인 이왕우 대령은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역사도 모르는 젊은 친구들하고 논하고 싶어 하지 않으신다”면서 “국민들이 다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의 백 장군 폄하 발언이 나오자 새누리당 장성 출신 국회의원들은 6·25 전쟁 당시 ‘구국의 영웅’인 백 장군을 ‘민족반역자’ 운운한 망언을 즉각 취소하고 석고대죄하라고 요구했다.


황진하·정수성·한기호·김성찬 의원 등 장성 출신 국회의원들은 24일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은 김 의원과 생각을 같이 하는 지 분명히 밝히고, 그를 비례대표로 선정한 책임을 지고 백선엽 장군에게 즉각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6·25 전쟁 당시 구국의 영웅을 ‘민족반역자’로 둔갑시킨 발언은 전 국민적 공분을 불러일으킨 패륜적 망언”이라며 “김 의원은 백 장군을 민족반역자로 제시한 근거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백 장군은 독립군을 토벌한 바가 없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고 강조했다.


백 장군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독립군이 아니라 중공 팔로군을 격퇴하는 데 주로 활동했으며, 독립군은 구경조차 못했다”고 밝히고 있다.


백 장군은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 칠곡 다부동 전투, 38선 돌파와 평양 입성, 1·4 후퇴 이후 서울 탈환 등 우리나라가 큰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커다란 공을 세운 ‘전쟁영웅’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