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급 늘어 쌀값 하락세…평양 10일경 2000원 하락”

북한 당국이 최근 배급을 정상화한다는 방침 아래 평양과 신의주 등에 배급량을 늘려 쌀값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급 정상화 방침에 주민들과 장사꾼들은 반신반의 했지만 실제로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 상순에도 배급이 이뤄져, 쌀값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평양 소식통은 21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지난달 상순과 하순 각각 5일분과 10일분의 배급이 된 데 이어 이번 달 상순에도 5일분의 배급이 나와 쌀값이 하락하고 있다”면서 “당국은 매달 10일분을 배급하고 오는 9월부터는 배급을 완전히 정상화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10일분은 노동자 4.5kg, 부양 가족 2kg으로 총 6.5kg 가량이다.


이어 소식통은 “주민들은 처음에 (배급 정상화 방침을) 믿지 않았지만 지난달 보름분에 이어 이번 달 5일분이 배급되면서 이번에는 다르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서 “지난달 보름분 배급에도 ‘이번 달만 주고 끝나겠지’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지만 이달 초에 배급이 이뤄지면서 배급에 대한 기대를 하고 있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이번 달 배급이 있기 전까지만 해도 평양 쌀 1kg의 가격이 6500원에서 7000원 선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3, 4월 배급이 시장 쌀 가격에 영향을 미쳐 10일 경 4500원까지 하락했다”면서 “21일 현재 평양 지역 쌀 가격이 5000원 선으로 다소 올랐지만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식통은 “4월 중순 이후 쌀값이 다시 조금씩 오르고 있다”면서 “만약 다음달에도 배급이 이뤄지면 지난 3개월간의 6000원 선은 붕괴되고 4000원이나 5000원 초반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경 연선 지역 복수의 소식통에 의하면, 이번 배급은 평안북도 신의주를 비롯해 양강도 혜산, 함경북도 회령·새별·청진 등에서도 실시됐다. 이곳 지역도 평양과 마찬가지로 이번 달 배급이 이뤄지면서 쌀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소식통은 이번 배급이 평양 등 일부 지역이 아닌 전국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신의주 소식통은 “당국의 이번 배급 정상화 방침으로 우리(신의주) 지역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배급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근 10일 분에 해당하는 쌀을 배급해줘 장마당 쌀 가격이 5000원 선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17일 사이 1kg 쌀값이 1000원 이상 하락해 혜산 5400원, 회령 5100원, 청진 5200원, 새별 5000원에 거래됐다. 


청진 소식통은 “4월 10일경 쌀값이 4800원에 거래되기도 했지만 이후 조금씩 올라 5000원을 넘어서고 있다”면서 “당국이 배급을 주면서 쌀값이 하락하고 있지만 환율이 내려가지 않고, 당국이 배급을 중단하면 언제든지 쌀값은 다시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혜산 지역도 최근 하락하다가 중국 세관을 통해 들어오던 쌀 수입이 중단돼 6400원까지 오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현재 중국에서 쌀이 들어온다는 소문은 있지만 언제 들어올지 몰라 혜산 지역 쌀값은 다소 비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북한 경제 전문가는 “현재 달러와 위안화에 대한 조선돈(북한)의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쌀값이 향후 다시 오를 수 있다”면서 “현재 배급으로 인한 쌀값 하락세와 환율 상승으로 인한 쌀값 오름세가 충돌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배급으로 인한 하락이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데일리NK는 지난 12일 “북한 당국이 강연제강(문건)을 통해 ‘핵보유국 지위에 오른 만큼 9월부터 모든 단위에 정상배급 할 것’이란 방침을 각 단위 간부들에게 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북한은 배급에 필요한 쌀을 전시에 주민에게 분배하는 2호미로 충당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고 이에 주민들은 당국의 약속이 번번이 실패로 돌아간 경험 때문에 지속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