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찬 전 총리와 함께 북한을 방문하고 현재 중국 베이징에 체류중인 열린우리당 이화영 의원(사진)이 “4월 이후 정상회담 개최가 가능할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12일 CBS 뉴스레이다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2·13합의 이후 두 달간 상황을 지켜보면서 중간 매듭이 지어지고, 워킹그룹에서 합의하면 정상간에 최종적인 합의사항이 나올 수 밖에 없다는 것에 북측이 공감을 표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북미수교 문제와 관련 “3월 중순 이후에 가시적인 조치가 있을 것이라는 언급이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몇 가지가 있지만 북측에서 발표할 사항이기 때문에 밝히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평화협정 문제와 관련 “이해찬 전 총리가 전반적인 한반도 정세를 얘기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문제가 논의될 수 밖에 없었다”며 “6자회담 진행과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평화 협정 얘기가 나올 수 밖에 없었고, 북한이 매우 적극적이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해찬 전 총리는 여러 차례 대통령과 이런 문제를 상의했었기 때문에 이해찬 전 총리의 의사가 대통령의 의사라고 이해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며 사실상 대통령 특사로써의 자격을 갖춘 방북이었음을 시사했다.
이어 “열린우리당 동북아평화위 차원에서 앞으로 북일 수교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일본을 방문해 자세히 설명할 계획이며 미국을 방문한 뒤 북한 방문을 할 수도 있다”고 밝히며, 추가 방북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비중있는 분들의 잦은 왕래가 상황인식 공유에 도움이 된다”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그런 논의도 있지 않았겠느냐”고 답했다.
한편, 이해찬 전 총리 일행은 방북 과정에서 북한측 인사들의 남한 방문을 공식 요청했다. 그는 “민화협을 포함해 이런 문제를 상의할 수 있는 팀이 적정한 시기에 남쪽을 방문할 수 있도록 일단 초청을 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방문시기에 대해 “좀 더 실무적인 논의를 해야 할 문제”라고 말한 뒤 “김영남 위원장 등 고위급이 아니라 일단은 실무급 인사의 방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의원은 또 “방북 기간에 김정일 위원장은 만날 계획도 없었고, 요청도 안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