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에 앞서 15억 달러의 현금지원을 남한 정부에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박지원 의원(무소속)은 11일 ‘서울대 6·15 연석회의’ 주최로 열린 특강에서 “2000년 3월 17일 베이징에서 열린 1차 예비회담에서 송호경 북한특사가 우리 정부에게 15억 달러의 현금지원을 요청했지만, 예산 절차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단호히 거절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당시 남북정상회담은 고(故)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이 먼저 제안한 결과 성사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2000년 초 당시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을 우연히 만난 자리에서 정 회장이 남북정상회담이 가능하고, 현대가 협력할 수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이 같은 사실을 보고받은 DJ가 관심을 표명해 내가 정회장에게 전화해 가능성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정 회장은 이후 3월 싱가포르에서 남측 특사였던 나와 송호경 북측 특사간 비밀 회담이 열렸을 당시에도 회담 장소 등에 대한 양측간 연락 채널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이외에도 “북한은 방북 직전까지 금수산기념궁전에 참배하지 않으면 정상회담을 할 수 없다는 뜻을 통보해 와 막판까지 회담 자체가 결렬될 위기에 처했었다”며 “결국 참배 문제는 정상회담 이전의 실무회담에서가 아니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과정 속에서 해결됐다”고 비화를 소개했다.
그는 김정일에 대해서는 “영특하고 위트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정일은 국제정세를 소상히 알고 있는데 이런 판단은 김 전 대통령이나 고이즈미 일본 총리, 페레손 스웨덴 총리,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과 같은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밤늦게까지 일하는 ‘올빼미형’이며, 이미자, 김연자, 은방울자매, 조용필, 나훈아 등의 한국 가수를 좋아한다”고 소개했다.
또한 그는 노무현 정부의 대북송금 특검과 관련 “노 전 대통령이 DJ와의 차별화를 위해 옹졸한 정치적 계산을 했으며, DJ에게 정치적 타격을 줘야겠다는 음모에서 정치자금 관계를 조작했다는 믿음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북송금 특검만 없었다면 6·15 합의사항이 착착 진행됐을 것이고, 노 전 대통령 취임 초에 2차 정상회담이 열렸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03년 실시된 대북 송금 특검 결과 정상회담 직전 5억 달러를 북측에 비밀 송금한 ‘대북 뒷거래’가 드러났다.
특검팀은 DJ정부 핵심 3인방인 박지원 의원(전 문화부장관), 이기호 전 청와대 경제수석, 임동원 전 국정원장을 조사해 5억 달러 불법송금 의혹을 밝혀냈을 뿐 아니라, 이근영 전 금감원장 등이 현대상선에 4천억원을 불법대출해준 사실도 밝혀냈다.
이후 박 의원은 2심에서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등 혐의로 징역 12년과 추징금 147억5천200여 만원을 선고받았으나 대법원이 ‘현대비자금’ 150억원 수수혐의에 대해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 최종적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고 2007년 2월 특별사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