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표 “中 유능한 중재자 돼 달라”

북핵위기 상황 속에서 23일 중국을 찾은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중국 고위인사들에게 “유능한 중재자가 돼달라”는 메시지 전달에 주력했다고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이 전했다.

이번 방중의 주된 목적을 ‘북핵 초당외교’에 두고 있는 박 대표는 이날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과 탕자쉬안(唐家璇)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연이어 만난 자리에서 “바로 중국이 그 역할을 해 줄 수 있다”면서 이런 당부를 거듭했다.

박 대표의 거듭된 당부는 북한을 설득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국가가 중국이라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왕 부장과의 면담에서 “북한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면서 “끝까지 노력을 다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대표는 또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인센티브와 포기하지 않을 경우 얻을 수 있는 불이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뒤 북한으로 하여금 전략적 선택을 하게 하자는 제안을 미국에 이어 중국측에도 전달했다.

박 대표는 “한국 정부는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경우에 대한 것만 이야기 하고, 핵을 강행할 경우 어떤 사태가 빚어질지에 대해 확실한 얘기를 한 적이 없다”면서 6자회담 참가 나머지 5개국이 북한의 핵 강행시에 대한 대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왕 부장은 “중재역은 문제가 아니나 북한과 미국 모두 주권국가인데 대신 우리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면서 “그러나 중재 역할은 열심히 하겠다”고 웃으면서 대답했다.

왕 부장은 또 박 대표가 북한이 핵을 강행할 경우 불이익에 대해 5자가 공동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데 대해 “그럼 한나라당은 어떤 조치를 생각하고 있느냐”고 되물었다는 후문이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강행시 대책보다는 한중 양국이 북한에 대한 설득을 우선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왕 부장은 지난 2월 북한의 핵보유 선언 이후 북한을 방문했을 당시 북한이 원한 것은 미국의 ‘폭정의 전초기지’ 발언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과 6자회담 재개시 북미 양측간의 단독회담 요구였다고 전했다.

그는 자신의 방북 이후 북핵문제에 대해 다시 약간의 변화가 보였으나 이후 다시 북미간 관계가 악화되면서 폐연료봉 재처리 등의 문제가 터지고 “참 안 좋은 상황이 됐다”고 박 대표에게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