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길연 외무성 부상 “‘행동 대 행동’ 원칙 따라 대응조치 취한 것”

박길연 외무성 부상은 핵검증은 한반도 비핵화 단계에서 6자회담 모두가 함께 받아야 할 의무라고 주장하며, 북한은 미국이 합의 사항을 어긴 상황에서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대응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부상은 27일(현지시각)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미국은 그 어떤 합의에도 없는 국제적 기분의 사찰과 같은 부당한 요구들을 들고 나오면서 인위적 난관을 조성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는 6자회담 합의에 따른 자기 의무를 성실히 이행했으며, 핵시설의 무력화가 다각 단계에서 추진되었고, 핵신고서도 제출됐으며, 핵시설의 폐기단계에서 하게 될 조치들까지 앞당겨 취했다”고 말했다.

또한 “테러지원국이 아니라는 것을 공식 선언하고도 검증 문제를 이유로 명단 삭제를 연기한 것은 그 명단이라는 것이 테러와 관련된 명단이 아니라는 것을 스스로 자인한 것이며, 검증은 전 조선반도를 비핵화하는 최종 단계에서 6자 모두가 함께 받아야 할 의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이 우리에 대해 일방적으로 사찰하겠다고 하는 것은 9·19 공동성명에 따르는 미국의 핵위협 제거를 골자로 하는 전 조선반도 비핵화는 집어 던지고 서로 총부리를 맞대고 있는 교전 일방인 우리만 무장해제시키려는 강도적 요구”라며 “우리 공화국를 목표로 한 군사적 위협과 전쟁 위협에 대처하여 나라의 자주권과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자위적 국방력을 백방으로 다져가는 것은 그 누구도 시비하거나 부정할 수 없는 정명한 선택이고 권리”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 8월 미국과 남조선이 조선반도 유사시 대비라는 구실 밑에 벌여놓은 합동군사연습은 철두철미 우리 공화국을 반대하는 핵 선제공격을 위한 한 차례의 전쟁이었다”며 “앞에서는 대화를 운운하고 돌아 앉아서는 대화상대를 방해하는 전쟁연습을 벌이는 이러한 양면주의적 행동은 미국의 구태의연한 대조선 적대시 정책과 현 남조선 정권의 북남 대결 정책의 명백한 증거”라고 비난했다.

박 대사는 이날 연설에서 미국과 한국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냈다.

박 대사는 “인권 옹호의 구실 밑에 감행하는 주권국가들에 대한 침략과 내정간섭은 철저히 배격해야 한다”며 “오늘날 자주적인 나라들을 무력으로 침략하고 무고한 민간인 살육을 자행하는 미국이야말로 세계 평화의 파괴자, 인권유린의 왕초”라고 비난했다.

한국 정부에 대해서는 “최근 북남관계가 6·15선언과 10·4선언을 부정하는 정권이 출현하여 악화되고 있다”며 “역사적 북남 선언들이 남조선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무시당하는 것은 결코 허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일·북 대표들간에 날선 공방이 펼쳐지기도 했다.

박 부상은 “조(북)․일 문제가 반세기 넘게 해결되지 못한 기본 원인은 일본이 자기 과거를 청산하지 않는데 있으며, 자신들의 침략 역사를 미화하고 조선의 신성한 영토인 독도를 강탈하려 하는 일본은 절대로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될 자격이 없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일본측 대표인 기로 고데라 유엔대표부 차석대사가 발언권을 얻어 “북한 대표의 발언은 전혀 근거가 없다”며 “2차 대전 후 수 차례 사과와 참회를 표명했으며, 과거사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고 반박하자 박덕훈 북한 대표부 차석대사가 나서 “피해자와 가해자를 바꾸지 말라”고 주장하는 등 신경전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