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17일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북한과 사회·문화적 교류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이날 (사)NK지식인연대가 주최한 ‘김정은 체제의 북한, 9개월간의 행보와 방향’ 세미나에서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국민들이 북한에 대한 관심이 많았지만, 이명박 정부에서는 남북 교류가 중단돼 남한 사람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낮아졌다”면서 “박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보완해 사회·문화적 교류를 활성화 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 사회·문화적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남북 대학생들간의 교류를 전면 허용하는 것으로 박 후보 당선 시 북한 대학생들을 취임식에 초청할 수도 있다”면서 “남한은 이미 북한과의 체제경쟁에서 승리한, 선진국 대열 진입을 눈앞에 둔 국가로서 이런 교류로 남한 대학생들이 북한 사상에 물드는 악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대북정책은 안보를 담보하지 않은 경협의 확대를 주장하지만, 새누리당은 안보 없는 경협은 어렵다는 입장”이라면서 “하지만 남북의 민간교류는 확대하자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하 의원은 대북정책과 관련 “남북으로 분단돼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대북정책은 국가 정책의 우선순위에 들어야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최하위로 밀려나 버렸다”면서 “현재 대선주자들 사이에서도 대북정책의 비중은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하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가장 잘한 것은 북한인권에 대해 공개적으로 강력하게 발언한 것”이라면서 “종합적으로 따져 봤을 때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은 30점,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60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민주통합당 대북 정책과 차별화를 모색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채택해야 한다는 ‘대북 정책案’을 박근혜 대선 캠프에 조만간 제안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