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야권 4당 통합특위 연석회의’를 제안했지만 진보신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은 아직까지 시큰둥한 반응이여서 통합 논의가 탄력이 붙을지 관심사다.
민주당 이인영 야권통합 특별위원장은 10일 통합의 시기와 관련해 내년 총선 준비를 위해서는 오는 10월까지 통합의 원칙과 과정, 그리고 방법에 대한 야권의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가이드라인를 제시했다.
더불어 통합은 야권의 다양한 정파들이 차이와 정체성을 상호 인정하면서도 한 지붕 아래 모이는 연합정당(빅텐트론) 방식이 적절하다고 추파를 던진 상태다.
같은날 당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이 야권통합과 관련 ‘대통합'(30.4%)이 ‘소통합'(27.0%) 방식보다 바람직하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도 야3당 껴앉기 위한 수순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이 제시한 일정대로라면 통합 합의안 타결까지는 3개여월 가량 남겨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군소정당인 민노당과 진보신당, 국참당은 일종의 연합정당 방식의 통합 논의 참여에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의 이념과 현실 정책에 차이가 큰 데다 자칫 내년 총선·대선에서 실리·명분 모두를 잃을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일례로 진보신당은 민주당의 지난 집권 10년을 보수 정권으로 평가하고 있다. 통합 논의 전 신자유주의, FTA,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강상구 진보신당 대변인은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연석회의 제안에 대해 “얘기할 가치가 없는 것”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어 “지난 10년의 정부는 신자유주의 정부였고, 조직적으로 어떠한 반성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인영 민주당 야권통합 위원장이 10일 “지난 10년 정부는 신자유주의 정부가 아니었다”고 말한 것에 대한 반문이다.
야권통합 논의 과정에서 또 다른 걸림돌은 북한의 3대세습 문제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3대세습’ 문제를 놓고 갈등을 겪었고 이 문제는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민주당 내에서도 3대세습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손학규 대표는 햇볕정책과 종북노선을 구분해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통합논의시 당 내에서 북한의 3대세습에 ‘노코멘트’ 입장인 민노당의 대북관 문제을 문제삼아 치열한 내홍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민노당에게 북한 3대세습 문제은 ‘아킬레스건’인 점을 지적, “민주당과 민노당이 통합을 하게 민주당 지지층의 이반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 교수는 또 “통합 논의가 본격화 되면 민주당 내에서도 여러 갈래의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며 당 내 진통을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민주당의 연석회의 제안 배경에 대해 “연대를 먼저 꺼내 놓으면 통합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며 “연대를 하기 위해 통합 논의를 하자고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진보신당도 선거연합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없고 언제든지 논의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도 “통합이 아닌 야권연대부터 시작해 착실하게 신뢰를 쌓을 필요가 있다”고 말해 선거연대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열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