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은 지난 7일 정보당국이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범민련)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주요 간부들을 체포한 것에 대해 “민간통일운동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의도적인 탄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민노당 자주평화통일위원회는 8일 발표한 논평에서 “범민련은 통일을 위한 활동을 진행해 온 단체로서 정부의 승인 하에 남북간 교류에도 직접 참여하는 등 합법적이고 공개적으로 활동을 해 왔던 민간 통일운동단체”라며 “이명박 정부는 민간통일운동에 대한 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범민련 강제 연행자를 비롯한 국가보안법에 의한 구속자를 즉각 석방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에 쌀 한 톨도 지원하지 않았고, 현재는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사업마저도 중단시켰다”며 “이런 정부가 6·15공동선언 이행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민간 통일운동 단체를 탄압할 자격은 없다”고 공세를 폈다.
특히 “이명박 정부는 애초 출범 이후 곧바로 6·15공동선언을 지지하는 통일단체에 대한 탄압을 계획했으나, 촛불항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올해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소문이 자자하다”며 “남북관계에 주도권을 갖지 못한 이명박 정부가 이제 그 분풀이를 6·15를 지지하는 민간 통일운동 단체에게 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고 주장했다.
‘종북주의’ 논란 끝에 민주노동당과 갈라선 진보신당도 이날 정보당국의 범민련 간부 수사를 비판하고 나섰다.
진보신당 김종철 대변인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자기들 살기도 바쁜 북한이 남한에 대한 체제전복을 실제로 노리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가 재보선이후 (분위기를) 반전하기 위해 공안정국을 조성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범민련 수사에 대한 비판이 ‘종북주의’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진보정당으로써 북한과 교류는 확대하면서 핵무기나 인권문제에 할 말은 하겠다는 것이지 (이 사안은) 종북주의와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편, 경찰 측은 이번 압수수색에 대해 “범민련 남측본부의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가 포착돼다”며 “일부 간부들이 당국의 허가 없이 북한 측 인사들과 만나 정보를 교환하거나 북한 체제를 찬양한 혐의가 있다”고 이유를 밝혔다.
대법원으로부터 지난 1997년 ‘이적단체’로 규정된 범민련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를 “평화적인 위성발사”라고 주장하는 등 북한의 입장을 적극 동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