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 통합에 국민참여당의 참여를 사실상 인정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림에 따라 향후 진보신당과 민주당 등 야권통합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 관심사다.
민노당은 19일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수임기관 전체회의에서 “국참당이 5·31 연석회의 최종합의문과 부속합의서에 동의하고 참여정부의 오류와 한계를 일정하게 성찰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입장은 국참당을 새로운 진보정당 논의의 참여 대상으로 포함시키겠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민노당을 중심으로 야권 군소정당 통합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됨과 동시에 국참당 참여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진보신당을 압박하기 위한 움직임으로도 보인다.
한편, 그동안 국참당의 진보정당 논의 참여와 관련 ‘참여정부 시절의 오류에 대해 진정성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고 반대 의사를 표해왔던 진보신당은 이번 민노당 결정에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진보신당 강성구 대변인은 20일 논평에서 “민노당이 국참당의 최근 행보를 참여정부의 오류와 한계를 일정하게 성찰한 것이라고 보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찰’이란 몇 마디 말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다른 정치활동을 통해 행동으로 검증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진보신당도 결국에는 국참당의 참여를 인정하고 내년 총선을 준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주대환 사회민주주의연대 대표는 ‘데일리NK’와 통화에서 “국참당의 참여 문제와 관련 우여곡절을 겪을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국참당까지 포함해서 합당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민노당을 중심으로한 새로운 진보정당 추진은) 덩치를 키워 민주당의 일정한 양보를 얻어 내려는 것이 목적”이라며 “진보신당에서는 국참당의 참여를 반대하고 있지만, 먼저 통합하고 난 다음에 산재돼 있는 문제를 해결하자는 식으로 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주 대표는 이런 관점에서 민노당과 진보신당 간의 합당 과정에서도 분당의 원인이었던 종북(從北)문제를 덮고 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총선에서 최대 지분을 확보해야 하는 진보신당의 입장에서도 민노당의 종북문제와 국참당의 참여정부 시절의 오류를 문제 삼아 통합 논의를 무한정 미룰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진보신당이 통합이 아닌 선거연합 수준으로 연대를 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진보신당 내에서 종북문제와 신자유주의 문제에 대한 반발이 심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한 중재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민노당과 국참당은 통합하고 진보신당과는 선거연합 수준에서 민주당과의 협상창구를 단일화 해 총선을 치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