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은 北노동신문 논평원 역할 그만둬야

민주노동당 대표단이 4박5일간 평양 방문을 마치고 19일 돌아왔다. 북한의 판문점 전화 단절과 육로통행 제한 예고로 남북관계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음에도 당국간 대화는 여전히 닫혀 있어 이들의 방북 결과는 주목됐다.

이명박 정부의 입장을 전달하는 것은 예시당초 기대도 안했지만 최소한 ‘대화 재개를 통한남북관계 개선’이라는 ‘민의’라도 전달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역시나’였다.

북한 조선노동당의 ‘우당’(友黨)인 조선사회민주당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돌아온 강기갑 대표는 20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한의 태도는 격앙돼 있었고 놀랄 정도로 심했다”며 “이런 심각성을 정부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긴박감을 느꼈다”고 소회했다.

그는 “북측은 6·15 , 10·4 선언을 이행하고 적대 대북정책을 전환하지 않는 한 더 이상 남북관계는 없다는 단호한 표현을 구사했다”며 “이명박 대통령에게 북측의 분위기를 전달, 대북정책 기조를 바꿀 것을 강력하게 호소,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상대방이 격앙될 정도로 화가 났기 때문에 화를 풀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동안 북한이 주장해 온 ‘6·15, 10·4선언에 대한 이행 약속을 해야 남북관계가 풀릴 수 있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민간단체의 ‘삐라’ 살포에 대해서도 “특정 단체가 남북관계를 악화시키는 정도라면 더 적극적이고 강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반면 북측의 ‘위협’과 ‘행동’으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북핵과 개성공단, 금강산 피살사건 등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하지 못했다. “개성공단같은 개별적 사안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북측은 두 선언에 대해 지킬 의지가 없는 한 의미 없다는 말을 했다”고 북측의 입장만을 되풀이 하고 있다.

북한 정권의 대내외 선전을 담당하는 ‘노동신문’등의 논조와 전혀 다르지 않다. 귀국 직후 기자회견과 라디오 방송 등에 연이어 출연하면서 ‘노동신문 논평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도대체 어느 나라 정당인지, 누구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국민은 김정일의 ‘나팔수’로서의 역할을 위해 그들을 ‘민의의 대변자’로 선출하지는 않았을텐데 말이다.

민노당은 올초 총선을 앞두고 ‘종북주의’(從北主義) 논란 끝에 분당이라는 쓰디쓴 아픔을 맛봤다. 그 결과 10명이던 의석수는 그 절반인 5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그들은 아직도 이 ‘5’라는 숫자가 가지는 의미를 깨닫지 못한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