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퇴진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던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이 즉각 퇴진을 거부함으로써 이집트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이다.
무바라크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국영TV로 생중계된 대국민연설을 통해 “외부의 강권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선이 치러지는 오는 9월까지 평화적인 권력이양 조치를 밟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는 차기 대선에 나서지 않겠다는 내 의도를 분명히 밝힌다”며 종전의 불출마 약속을 재확인한 뒤 “헌법의 5개 조항은 개정하고, 1개 조항은 삭제할 것”이라며 개헌 약속을 구체화했다.
그는 또 발효된 지 30년 된 비상계엄령도 국가의 안보상황이 안정되면 해제하겠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계엄법 폐지 시점을 못박지는 않았다.
이 같은 무바라크 대통령의 발표에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에 모여 있는 이집트 시민들은 종전 보다 더욱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술레이만 부통령이 무바라크 대통령의 연설이 끝난 뒤 타흐리르 광장에 모인 시민들에게 가정과 직장으로 복귀하라고 요구했지만, 시민들은 “우리는 대통령궁으로 향한다. 수백만 명의 순교자”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반발했다.
이집트의 유력한 야권 지도자인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집트가 폭발할 것”이라며 “군은 지금 당장 국가를 구하라”고 촉구했다.
이집트 민주화 시위를 이끌고 있는 주요 단체들은 이튿날인 11일 카이로 시내 6곳에서 각각 집회를 연 뒤 타흐리르 광장으로 행진하는 ‘100만명 항의 시위’를 열 예정이다.
이번 이집트 사태의 가장 큰 변수는 이집트 군부가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에 따라 달려있다.
이집트 군부는 그동안 중립적인 태도를 취해 왔으며 최근에는 최고 사령관인 무바라크 대통령이 불참한 가운데 회의를 연 뒤 국영TV를 통해 “국민의 적법한 요구에 대한 지지”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이집트 사태가 악화되자 그동안 무바라크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했던 미국도 국가안보회의를 소집하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현재 미국은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만큼 백악관과 국무부 등 관계 부처간 입장 정리가 이뤄지는 대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