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부 시민단체들의 ‘맥아더 동상 철거’ 주장 및 실력행사를 둘러싼 논란이 미국 정계의 ‘항의성 서한’으로 파문이 확산될 조짐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여야는 16일 미묘한 입장차를 보였다.
한나라당은 정부가 한미 동맹에 심각한 균열을 가져올 수도 있는 이번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동상 철거문제와 관련해 정부.여당의 입장은 이미 명료하게 정해진만큼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서한 전달은 외교적 예의를 갖추긴 했지만 사실상 미국의 강력한 항의”라면서 “한국을 돕기 위해 피를 흘렸음에도 동상 철거를 주장하는 데 대해 미국으로서는 참을 수 없었을 것인만큼 정부는 한미 동맹을 확실히 지킨다는 측면에서 동상 철거 불가(不可)라는 점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태희(任太熙) 원내수석부대표는 “‘항의 서한’은 자신들의 희생이 찬밥신세가 됐다는 불만에서 나온 것”이라며 “동상 철거를 둘러싼 싸움은 대한민국을 인정하는 세력과 대한민국을 부정하거나 역사를 부끄럽게 생각하는 세력간의 투쟁인만큼 정부도 대한민국을 인정할 것인지를 분명하게 행동으로 보여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우리당 전병헌(田炳憲)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동상 철거 문제와 관련해 정부와 여당의 입장은 인정하고 싶건, 인정하고 싶지 않건 역사로서 실재한다는 것으로 이미 명료하게 정리됐다”면서 “미국 정부 차원이 아닌 의회 일각에서 나온 다소 뜬금없는 제안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당내에서는 시민단체들의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배기선(裵基善) 사무총장은 이날 CBS 뉴스레이더에 출연, “동상 철거 시도는 잘못”이라며 “한미 동맹은 남북 민족공조를 끌고나가는 토대이기 때문에 현실을 무시하고 너무 이상적, 낭만적으로 민족문제를 풀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회 통외통위 소속 이화영(李華泳) 의원도 “역사는 역사인만큼 해석 문제를 놓고 실력행사를 하는 것은 반대”라고 시민단체들의 자제를 촉구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