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건 당시 北외무 부상 현지에 있었다”

리비아 정부가 한국 대사관의 정보담당직원을 추방하기 전에 북한 외무성 고위관리가 리비아를 방문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문화일보가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정부 외교소식통을 인용 “김형준 북한 외무성 부상이 6월 초 리비아를 방문해 리비아측과 협의를 한 것은 맞다”고 보도했다. 주리비아 한국 대사관도 홈페이지에 김 부상이 지난 6월 리비아를 방문한 사실을 밝히고 있다.


김 부상은 지난 6월 9일 시리아에서 왈리드 알 모알렘 리비아 외교장관과 면담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신문은 이 점을 상기하며 김 부상이 6월 9일을 전후로 시리아와 인근 중동·아프리카 국가를 순방하는 과정에서 리비아에 들렸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김 부상이 리비아를 방문한 시점과 한국 대사관의 정보 담당 직원의 정보활동에 ‘간첩’ 혐의를 적용된 시점이 맞물려 있다며 북한·리비아 양국간 협의 가능성과 그 내용이 주목된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대한 한·미 추가 대북제재 움직임에 대해 리비아측에 도움을 요청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상이 북·리비아간 방위산업체 협력 문제를 논의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된 대북관련 정보수집 과정에서 한국 측의 활동이 문제가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외교통상부는 최근 “(해당 직원이) 북한 관련 정보와 방위산업체 협력 관련 정보활동을 하다가 리비아 정부로부터 항의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상은 북한 외무성의 ‘중동·아프리카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북한 고위 인사의 리비아 방문은 2006년 6월 대외무역부장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 방문 이후 4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