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킹 미 국무부 북한 인권 특사가 내달 6일 방한해 북한 인권문제 등을 논의한다.
지난해 1월에 이어 두 번째로 방한하는 킹 특사는 정부 당국자를 비롯해 정치권 인사, 북한 인권단체 관계자를 만나, 북한인권 개선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 최근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미국 정부의 향후 방향과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31일 정례브리핑에서 “로버트 킹 북한 인권특사가 2월 첫째 주에 방한할 예정”이라면서 “킹 특사는 북한의 인권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방한하게 되면 외교부를 비롯해, 북한 인권과 관계가 되는 정부 부처, 관계기관의 인사들과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 소식통은 “킹 특사의 방한은 지난해 방한한 것에 이어 연례적인 성격이지만 북한의 비핵화를 비롯해 북한인권 문제를 놓고 가지 않겠다는 오바마 행정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인권 단체 관계자는 “다른 인권 단체 대표와 함께 킹 특사를 만날 예정”이라면서 “북한 인권 문제 해결 방안과 미국의 입장을 들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킹 특사는 좌우 NGO 단체들을 비롯해 정치권에서도 여당 지도자는 물론 햇볕정책을 옹호해온 야당 인사들과도 만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킹 특사는 지난해 1월 방한해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을 예방하고 “북한 인권문제가 6자회담의 맥락에서 논의될 수 있다”면서 “북미관계 정상화 실무그룹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다뤄져야 한다”고 밝혔었다. 그는 “북한은 최악의 인권 국가 중 하나”라며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 인권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