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스 ‘폭정’ 발언은 남의 수족 절단”

미국 민주당의 엔니 팔리오마바에가 (미국령 사모아) 하원의원은 26일 미국이 북핵 해결을 위해 북한에 대한 강경 발언을 자제하고 한국이 주도적으로 돌파구를 마련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워싱턴 시내 레이번 빌딩에서 열린 미 하원 국제관계위 동아태소위 청문회에서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을 상대로 북핵문제를 언급하면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북한에 대해 ‘폭정의 잔존기지’라고 언급한 것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부 사람들은 수사(修辭)를 별로 신경 쓰지 않지만 어떤 문화에서는 그같은 발언은 마치 남의 손이나 발을 잘라내는 것과 같다”고 말하고 “우리 서방 세계의 하위문화안에서는 그같은 수사를 매우 심각한 것으로 여기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자신이 보기에 북한의 가장 큰 공포는 남한이 미군의 군사력의 도움을 받아 북한을 공격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남한에 핵무기가 있는 것이라면서 “북한은 (6자회담 참여국에서 북한을 뺀) 5개국에 대해 위협을 느낄 것이고, 실제로 가장 센 나라인 미국과 왜 직접 협상을 할 수 없느냐고 생각할 것”이라며 북-미간 직접대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팔리오마바에가 의원은 이어 “내가 듣기로는 한국의 대통령이 동족인 북한과 직접 대화를 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 대해 우리가 (미국이) 불만을 갖고 있다고 하던데, 꼭 6자 회담을 고집해야 하느냐”며 “한국이 주도권을 갖고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어떠냐”고 물었다.

이에대해 힐 차관보는 “북한이 어떤 마음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기는 매우 힘들다”면서 “북한의 최대의 공포는 ‘우리가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있는가’, ‘우리 국가의 목적은 무엇인가’,’우리가 생존할 수 있는가’ 하는 것 등”이라고 말하고 주한 미군은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 미국은 한국의 대화 노력을 절대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면서 “남북한은 똑같은 사람들이며, 우리는(미국은) 한반도 분단의 끔찍한 비극에 대해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워싱턴=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