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軍출신” 野 국정원장 후보 비판에 與 “꼬투리 잡기”

남재준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청문회 문턱을 넘기에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민주통합당 등 야권이 군 출신인 남 후보자의 대북 강경성향을 문제 삼아 비판의 날의 세우고 있어 아직 인사청문회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꼬투리 잡기’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인사청문회가 열리면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민현주 새누리당 대변인은 5일 데일리NK에 “민주당 측에선 안보부처에 군(軍) 출신들이 약진했다는 이유로 비판하고 있는데 이번 인선엔 악화된 안보상황이 고려됐다”면서 “출신 성분을 두고 꼬투리를 잡는 것은 옳지 않으며 업무관련 능력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북정보 수집 능력, 조직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서 남 내정자가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안보부처에 대한 인선이 특정 군 인맥(육사)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과 남 내정자가 대북강경파라는 점을 거론하면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현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4일 “시대착오적인 강경입장에 머물고 있는 남재준 내정자가 중차대한 시기에 업무를 제대로 수행해 낼 적임자인지 모르겠다”며 “특정 군 인맥들이 국가안보실장, 경호실장, 국방부장관, 국정원장 등 안보라인에 임명되면 권력의 집중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현재 민주당은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자진사퇴 입장을 철회하고 새누리당과 인사청문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에 더 이상 양보할 것은 없다는 기류가 형성돼 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데일리NK에 “박근혜 대통령은 친분이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인선하고 있고, 더욱이 육사 출신들이 안보라인을 꿰차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상당히 비판적인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은 “내정자들의 직책 적합성을 따져야겠지만, 기본적으로 군인은 평생 ‘안보’를 다루던 사람들이라 관련 업무 수행에 전문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면서 “같은 육사·군 출신이기 때문에 권력의 집중이 우려된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