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올림픽에 참가한 북한 선수가 금지 약물 복용 혐의로 메달 자격이 박탈되는 사건이 전 세계 언론에 전해지자 북한 내부에서는 해당 선수의 처벌 문제가 제기될 정도로 격앙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5일 이번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해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한 북한 사격선수 김정수(31)의 샘플에서 베타 차단제(beta-blockers)의 일종인 프로프라놀롤 양성 반응이 나타나 메달을 박탈당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IOC 발표 다음날 중국 선양에서 기자와 접촉한 북한 경제부분 관계자는 “중국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국가 망신을 시켰으니 우리(조선) 분위기에서는 그냥 넘길 수는 없는 문제”라면서 “위(상부)에서도 난 데 없이 약물 문제가 터져 나오자 단단히 화가 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에 대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언급이 있었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그것은 알지 못한다”면서도 “그렇지 않아도 위조 지폐니 마약이니 밖에서 공화국을 헐뜯으려고 혈안이 돼 있는데 약물 문제를 일으키니 안 좋은 인상만 더 키운 꼴이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북한 내부 소식통은 “외부 사람들은 조선을 잘 모르는데, 그렇게 나라 망신을 시키면 조용히 데려가 몇 년을 고생 시킨다”면서 “중국에서 소식을 접한 사람들 입에서도 국가에서 엄한 처벌을 내릴 것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귀국한 김 선수에 대해 체육 부분 관련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체육지도위원회’의 징계 범위를 넘어서 실제로 구금이나 노동단련 등의 처벌을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럴 경우 과잉 처벌 등의 인권 침해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탈북자들은 1966년 월드컵 8강 신화 주역들의 경우 현지 활동이 문제돼 정치범 수용소에서 수년간 강제 노동에 처해졌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1994년 미국 월드컵에 참가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이 전패를 하고 돌아오자 김정일이 불같이 화를 내면서 “앞으로 몇 년간 외국에 내보내지 말라”고 지시해던 일화도 전해지고 있다.
국제 스포츠 계에서는 특정 선수가 금지 약물을 복용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기존 수상 경력박탈과 자체 규정된 기간 동안 국제 대회에 출전 자격을 박탈하는 등의 내부 징계를 해왔다. 금지 약물 복용행위 만으로 해당 국가의 사법적 처벌을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다.
이번 올림픽 메달리스트 중 첫 금지약물 복용으로 적발된 김정수는 국방 체육단 소속으로 2004년 아테네올림픽 남자 50m 권총에서 동메달을 딴 북한 사격의 간판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