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교역·경협 업체들은 25일 천안함 사태에 대한 `대북조치’로 정부가 개성공단을 제외한 대북 교역·경협을 전면 중단키로 한데 대해 피해를 호소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남북 농림수산물사업협의회 박영일 회장 등 대북 교역·경협업체 대표 14명는 이날 오전 정부중앙청사에서 엄종식 통일부 차관과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통일부와 간담회 참석자 등에 따르면 대북 교역·경협업체 대표들은 갑작스런 대북사업 중단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를 우려하며 우회적으로 손실보전을 요구하는 한편 긴급 운용자금 대출 등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북측에 원부자재나 반제품을 보내 현지에서 완제품을 만들어 국내로 반입하는 위탁가공업체들은 이미 만들어진 완제품의 국내 반입 허용을 요구하며 `물품 반입 금지’에 유예기간을 둘 것을 주문했다.
모 의류 위탁가공업체는 북측에서 완제품을 만들어 선적까지 했는데 반입금지로 당장 6억~7억원의 피해를 보게 됐다며 반입 금지를 풀어줄 것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기업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안별로 완제품의 반입 허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업체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구제방안 가운데 하나인 전업에 대해 “당장 전업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고, 특히 북측 지역에 투자한 업체 대표들은 투자금 회수 문제를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업체 대표들이 대북조치로 직면한 어려움을 실감 나고 적나라하게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긴급 운용자금 대출, 대체 수입선 알선, 전업 지원 등을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엄 차관은 또 오후에는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소속 회장단 7명을 만나 정부의 대북조치 취지를 설명할 예정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대북 위탁가공 업체는 200여개, 대북 일반교역 업체는 580여개에 달하고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