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한국 수석대표인 송민순(宋旻 淳)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29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고, 이것도 조만간 실무선에서 협의를 시작려고 한다”면서 “본격적인 남북경협추진 및 북한의 개혁개방촉진을 지원하는 조치도 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 차관보는 이날 낮 이해찬(李海瓚) 총리 주재로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열린 ‘ 중앙언론사 논설실장(주필.주간)’ 간담회에서 “핵폐기 및 상응조치와 관련해 구체적 방안, 순서 등 이행방안을 준비해서 관련국들과 10월중 (공식)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의 입장과 원칙에 기초해서 우리의 입장에 근접하는 타결방안을 마련하도록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각국이 차기회담 개최 이전이라도 공동성명에 따른 각자의 의무이행을 위해 가시적 조치를 취해 나가도록 관련국과 계속 협의를 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6자회담 국가중에서 5개국이 11월 부산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서 “이 기회에도 관련국들과 6자회담의 진전기류가 계속되도록 정상 차원에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리는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양자간의 관계들이 몇 분야에서 진도가 나가는 것 같다”면서 “일본은 북일 수교를 놓고 실무적인 접촉을 해 나가는 것 같고, 또 미국은 미국대로 북미관계 정상화 쪽으로 향해서 내부적으로 검토를 해 나가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또 “(제네바회담과 달리) 이번에는 6자회담이라는 다자회담의 틀로서 안정적인 구조를 만들어내고 또 북미, 북일, 남북간에 쌍무적인 후속논의가 이뤄질 수 있는 그런 틀이 만들어 진 것이 큰 의미가 있다”면서 “그래서 (다음)회담에서는 좀더 진전된 이행계획서를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