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고위 당국자가 9일 “6자회담 재개 분위기 조성하는 과정에서 천안함 사건을 6자회담과 직접 링크(연결) 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고위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만약 6자회담을 천안함과 연계시키면 모든 문을 닫아버려야 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천안함은 남북관계 차원에서 가져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북한의 진정한 사과가 있어야겠지만 상황에 따라서 융통성이 발휘될 것”이라면서 “북한의 태도변화가 완벽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고 시간이 지나 상황이 변화되면 어느 시점에서 6자회담은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어떤 형태로든 천안함 문제가 일단락되는 ‘점’이 찍혀야 되는데, 향후 북한의 태도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워지면 어쩔 수 없이 6자회담을 할 수도 있다”면서 “현 시점은 아니지만 향후 남북 경협이 이루어지면 일단락 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과거에 우리의 북핵 관련 의견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현재는 우리의 의견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등 한미 관계가 안정화됐다”면서 “한중 관계에 있어서도 중국은 우리의 의견을 무시 못할뿐더러 미국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상황이 과거와 다르고 과거에는 중국과 미국의 의사에 우리가 (6자회담 관련) 따라가는 입장이었지만 현재는 우리의 판단, 우리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6자회담은 천안함 문제보다는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있느냐 하는 게 중요한 조건”이라면서 “천안함 문제를 잊어버리고, 덮고 넘어간다는 게 아니라 북한이 비핵화할 의지가 있느냐가 6자회담의 재개에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정부 당국자들의 발언은 천안함 사과가 북한의 진정성 있는 태도변화를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북핵 6자회담 재개의 최우선적인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점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정부 입장에서는 천안함 문제뿐 아니라 6자회담 재개도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북한이 진전된 태도변화를 전제로 이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트랙 전략을 펴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