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핵심 당국자는 10일 남북 해군간 서해교전이 북.미대화에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현재로서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번 사태의 여파가 어느 정도 인지 파악돼있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현재로서는 어떤 입장을 표명하기가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남북 긴장국면과 북.미대화의 상관관계에 대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게 합당할 것으로 본다”며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사안인지 가늠해서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 정부의 북.미대화 발표와 관련, “조만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미접촉이 가시권에 들어왔으며 해를 넘기지 않고 연내에 하겠다는 미국의 입장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아직 미국이 시기를 특정하지 않은 것 같다”며 “머지 않은 시기에 (북한에) 갈 것 같은데 미국에서 시점을 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북.미대화의 횟수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북.미간 접촉이 몇회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얘기가 없었다”며 “단지 북.미접촉이 무한정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대해 북.미간 강한 공감대가 형성돼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대화의 의제와 관련, “조속한 6자회담의 재개와 비핵화 공약의 확인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의 북.미대화 카운터파트로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거론되는 데 언급, “북한의 정책결정 구조를 감안할 때 보다 상위의 지위에 있고 더 많은 권한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인사가 나오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미국측에서도 그런 생각에서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