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4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남북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8.15민족통일대회’가 남북 당국대표단이 참가하지 않는 민간행사로만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이재정 통일부장관은 2일 기자들과 만나 “아직 공식적으로 이야기하진 않았지만 지난 6.15행사 때 우리 당국대표가 안 갔으니까 저쪽도 이번(8.15행사)에 안오는게 좋지 않나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볼 때 북측 당국대표단이 8.15행사에 참가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래서 굳이 당국 참가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실무회담 제안을 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어 “아직 최종 결론을 내리지는 않았지만 올해 8.15행사는 남북이 민간차원에서 합의한 대로 민간행사로만 치러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6.15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는 지난달 26일 개성에서 북측위원회와 실무접촉을 갖고 14일부터 부산에서 8.15행사를 남측 300명, 북측 100명, 해외측 100명 등 총 500명이 참가한 가운데 공동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남측위는 당시 북측 당국대표단도 참가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으나 북측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남측위는 오는 6일 개성에서 북측과 추가 접촉을 갖고 14일부터 열리는 8.15 행사를 2박3일로 할지 아니면 3박4일로 할지 등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남북 당국은 2005년 6.15와 8.15행사, 지난해 광주에서 개최된 6.15행사에 대표단을 파견했으나 작년 8.15행사는 천재지변에 해당하는 북측의 수해로 공동행사 자체가 열리지 못했고 올해 6.15행사도 직전에 열린 21차 장관급회담이 결렬되면서 민간행사로만 치러졌다.
지난달 말 남북 장성급군사회담이 아무런 성과없이 끝난데 이어 8.15행사 당국대표단 간 접촉마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장관급회담을 비롯한 남북 간 차기 회담일정을 확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8.15 행사가 끝나면 을지포커스렌즈 연습이 8월말까지 예정돼 있고 9월초에 6자회담이 개최될 가능성 있으니까 장관급회담은 9월 둘째주에나 열릴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자연스럽게 경제협력추진위원회도 장관급회담 이후에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연합